강신명(50·사진) 서울지방경찰청장이 6일 경찰청장에 내정됐다. 이성한 경찰청장이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부실수사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터라 강 내정자는 경찰에 대한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과제를 떠안게 됐다.
강 내정자는 경찰위원회의 동의와 안전행정부 장관의 제청을 받아 지명됐다.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박근혜 대통령이 최종 임명한다. 강 내정자는 유씨 수사 과정에서 추락한 경찰의 위상을 조속히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에서 경찰청장직을 맡게 됐다. 기자들과 만나 “경찰의 신뢰가 위기를 맞았다”며 “업무 중심으로 조직을 재편해 하루빨리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강조했다.
경찰대 출신으로 처음 경찰청장에 발탁된 그가 안팎에서 제기되는 ‘경찰대 견제론’을 뚫고 조직의 화합과 검찰과의 관계 개선을 끌어낼 수 있을지도 관심이다. 특히 ‘고위직 독식’ 논란 끝에 경찰대 정원이 축소되는 등 내부 알력이 표면화되고 있는 경찰 조직을 아울러야 한다. 김형식 서울시의원의 재력가 살인교사 사건 등 굵직한 사건에서 허위 보고가 잇따른 터라 매끄럽지 못한 수사체계도 다듬어야 한다. 검·경 갈등 역시 풀어야 할 숙제다. 해묵은 수사권 조정 분쟁에다 유씨 수사를 둘러싸고도 계속 잡음이 일어 검찰과의 관계는 악화될 대로 악화된 상황이다.
강 내정자는 서울청장 재임 8개월간 ‘정중동’ 행보를 보였다. 서울청장 취임 이후 112신고 신속 출동을 위한 15개 세부과제를 마련해 ‘관할지역 칸막이’를 없애면서 현장 검거율이 60% 증가했다. 또 경제 검찰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회의 특수판매공제조합 이사장 ‘낙하산 인사’ 관행을 수사해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검찰에 송치하는 등 뚝심 행보를 보여 왔다.
경남 합천 출신인 강 내정자는 경찰청 수사국장과 정보국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 사회안전비서관을 지낸 뒤 지난해 12월부터 서울청장으로 일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강신명號가 넘어야 할 과제… 유병언 수사 등 땅에 떨어진 警 신뢰회복 급선무
입력 2014-08-07 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