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안부 문제 직시하라는 日 안팎의 요구들

입력 2014-08-07 02:10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패트릭 벤트렐 대변인과 국무부의 젠 사키 대변인이 5일(현지시간) 한목소리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개탄스러운 일이며, 중대한 인권위반 행위”라고 밝혔다. 백악관 및 국무부 관계자가 최근 위안부 피해자인 이옥선·강일출 할머니를 처음으로 만나 당시의 참상을 생생하게 전해들은 뒤 나온 공식 반응이다. 백악관과 국무부는 미국 외교정책을 총괄하는 곳이다. 이에 따라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그동안 소극적인 입장을 취해온 미국이 앞으로는 적극적인 자세로 선회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4월 말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해 “(위안부 문제는) 끔찍하고, 지독하며, 쇼킹하다”고 언급한 점도 새삼스레 거론되고 있다.

때마침 일본 아시히신문은 5, 6일자 특집기사를 통해 위안부의 강제 동원을 부정하는 아베 신조 총리와 극우세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위안부의 강제 동원을 증명하는 자료들이 여러 나라에서 발견됐는데 일본 정부 문서가 없다는 이유로 이를 부인하면서 사과할 필요도 없다는 아베 정부의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스기우라 노부유키 편집담당 임원은 “피해자들을 ‘매춘부’ 등으로 폄하해 자국의 명예를 지키려고 하는 일부의 논조가 일·한 양국의 내셔널리즘을 자극해 문제를 꼬이게 하는 원인”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미국 정부와 아사히의 비판은 아베 정부가 자초한 일이다. 역사적 사실은 변할 수 없다. 그럼에도 아베 정부는 고노 담화 검증 등 온갖 꼼수를 동원해 반역사적·반인륜적 행태를 거듭하고 있으니 지탄의 목소리가 커지는 건 당연지사다. 그 때문에 동북아 정세마저 불안해지고 있지 않나. 인간의 존엄과 관련된 위안부 문제가 계속 외교적 이슈로 다뤄질 경우 아베 정부는 국제적으로 더욱 궁지에 몰리게 될 것이다. 위안부 강제 동원 사실을 인정하고, 일본 정부가 책임을 지겠다고 분명히 밝히는 게 순리다. 1965년의 한·일 청구권협정으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됐다는 궤변도 앞으로는 그만두길 바란다. 아베 총리의 결단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