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형편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의 생활 불편을 해소해주기 위해 무료 집수리에 나선다.
시는 이달부터 11월까지 저소득 중증장애인 110가구를 대상으로 거실과 안방 사이 문턱을 없애는 등 수리를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시는 집수리를 신청한 320가구 중 현장실사와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가구 등 최종 110가구를 선정했다.
특히 예년과 달리 올해는 지원 대상 중 10가구를 중복장애인이나 장애인이 2명 이상인 특성화가구로 선정했다. 이들의 집수리에는 기존 예산의 2배(약 800만원)가 투입된다. 또한 지난해 5가구였던 임대아파트 거주 중증장애인 집수리 대상도 올해 10가구로 늘렸다. 장기간 거주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이미 전문가로 구성된 설계팀은 현장을 일일이 방문해 장애인 본인이 원하는 개선사항을 바탕으로 집수리 설계안을 마련했다. 장애인이 집에서 가장 큰 불편을 느끼는 화장실의 경우 혼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변기 및 세면대의 높이를 낮춰 교체해주는 등 전면 개보수할 예정이다. 물이 떨어져있을 때 미끄러질 위험이 있는 바닥에는 미끄럼 방지타일이, 벽에는 손잡이 등이 설치된다.
또 휠체어가 드나들 수 있도록 문도 확장해주고 방과 방 사이 문턱은 경사로로 변경해줄 계획이다. 쉽게 켜고 끌 수 있는 리모컨 전등과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리모컨식 빨래건조대도 설치된다.
가스누출이나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자동가스감지기 및 화재경보기도 지원된다. 아울러 집수리 후 시공문제 등으로 거주 장애인이 만족하지 못할 경우 1년 이내 무상 애프터서비스도 시행한다.
시의 저소득 중증장애인 집수리사업은 가구주 및 가구원이 장애등급 1∼4급인 차상위 이하 가구 중 집 소유주가 개조를 허락하고 시행 후 1년 이상 거주를 허락한 경우에 지원된다. 시는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516가구를 수리했다.
강종필 시 복지건강실장은 “집수리 후 만족도가 평균 93.5%로 조사됐다”면서 “집수리 사업을 통해 저소득 중증장애인들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
장애인 사는 집 안전하고 편리해진다… 서울市 110가구 주거 무상수리
입력 2014-08-06 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