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민생 앞세워 野에 세월호 협상 매듭 압박

입력 2014-08-06 02:24
새누리당이 민생을 앞세워 교착 상태에 빠진 세월호 협상을 매듭짓자고 야당 압박에 나섰다. 하지만 정작 핵심 쟁점인 세월호특별법 협상과 청문회 증인 채택에 대해서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융통성을 발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5일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여러 가지가 꽉 막혀 하루하루 고통스럽고 잠이 안 온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야당과의 협상이 어느 것 하나 순탄치 않음을 설명한 뒤 “손을 떼면 성의가 없다고 하고, 어떤 조치를 하면 국면전환을 한다고 해 대단히 어렵다. 40년가량의 공직생활에서 이렇게 고통스러운 적은 없었다”고 토로했다. 이 원내대표는 “금주에 국회가 숨통을 틀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단 “타협할 게 있고 못할 게 있다”고 말해 핵심 쟁점에서만큼은 여전히 물러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우선 야당이 세월호 국조특위 청문회 증인으로 정호성 청와대 제1부속실장의 출석을 요구하는 데 대해 “세월호 사고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을 증언을 통해 모두 파악하겠다는 것”이라면서 “정치인 몇몇이 판단하기엔 대단히 무거운 문제”라고 반대했다. 세월호특별법에 따라 설치될 진상조사위원회에 상설 특검을 두자는 주장에 대해서도 수용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특위 위원인 권성동 의원은 “검찰이든 상설 특검이든 가장 중요한 것은 수사의 독립성”이라면서 “조사위 내에 특검을 두면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받기 어렵다”고 거들었다.

회의에선 당 차원의 강력한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성태 의원은 “정쟁을 위한 시간 끌기가 야당의 속셈이라면 지도부가 과단성 있는 판단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공개로 전환된 뒤에는 아예 청문회 날짜를 못 박아 야당에 통보하자는 강경한 주문도 있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야당에선 새누리당이 7·30재보선에서의 압승을 동력 삼아 세월호 협상을 밀어붙이려 한다는 의심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7일 주례 회동을 갖고 세월호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