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일병 사망 파문] “조금만 신경 썼어도…” 무관심 질타

입력 2014-08-06 04:18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이 5일 윤모 일병 폭행사망 사건이 발생한 육군 28사단 해당 의무반을 방문해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한 장병이 간담회에서 자신의 의견을 밝히고 있다. 연천=국회사진기자단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 10명은 5일 병영 내 가혹행위로 숨진 윤모 일병이 복무했던 경기도 연천 28사단 의무반을 방문해 현장 조사를 벌였다. 국방위원들은 현장에서 군 관계자들로부터 사고 당시 상황을 보고받고 감시체제를 제대로 작동시키지 못한 이유와 사건 은폐 의혹 등을 집중 점검했다. 윤 일병이 근무했던 의무반은 사고 당시 소속 본부와 200m쯤 떨어져 있어 지난해에는 점호도 따로 받지 않고 순찰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사각지대’였다는 사실을 확인됐다.

새누리당 소속인 황진하 국방위원장은 현장을 둘러본 뒤 “밖에 공중전화도 있고 (폭행을 하면) 옆에서 소리도 들리는데, 조금만 신경 쓰면 모를 리 없었다”며 “완전히 사각지대였고 대대에서 떨어져 있어서 관심도 없었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진성준 의원은 “제대로 순찰하지 않고 관리하지 않은 데 대한 직무유기도 수사해야 한다”고 했다.

이 사건을 수사한 문병규 6군단 헌병대장은 “사고 당시 자고 있는 윤 일병을 (가해자들이) 깨웠고 ‘왜 쩝쩝 소리를 내고 먹느냐’며 폭행을 가했다”며 “떨어진 음식을 핥아먹게 하는 등 회식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새정치연합 윤후덕 의원은 “군에서 처음에는 회식이라고 허위 보도자료를 냈던 것 아니냐”며 군 당국의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회식이라고 하지 않았고 취식 중 폭행을 받아서 사망했다고 보도자료를 냈었다”고 해명했다.

국방위원들은 현장 조사를 한 뒤 병사 20여명과 간담회를 갖고 폭행 사고에 대한 신고체계와 애로사항 등을 확인했다.

새정치연합은 윤 일병 사건 당시 국방부 장관이던 김관진 청와대 안보실장이 국회에 출석해 진상을 밝히고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은혜 원내대변인은 국회에서 브리핑을 갖고 “국가에서 보호받지 못한 군인의 생명, 지휘부 축소 은폐 사건 등 윤 일병 사건은 여러모로 세월호와 닮았다는 점에서 국민의 분노와 충격이 크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에서도 군 지휘부 문책론이 강하게 제기됐다. 황 국방위원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사고 당시 보고나 조치가 제때 이뤄지지 않았는지 등을 조사한 뒤 누구든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위원장은 앞서 YTN 라디오 인터뷰에선 김 안보실장에 대한 책임론에 대해 “야당의 그런 주장이 일리는 있다”면서 수사를 통해 밝혀진 책임자들을 사법처리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했다.

새누리당은 진상 규명과 대책 마련을 위해 당내 국방위원회 및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의원을 중심으로 ‘윤 일병 사건 대책 태스크포스(TF)’를 설치·가동키로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