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급수적으로 느는 ‘스마트폰 결제시장’… 정부,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키운다

입력 2014-08-06 02:37

정부가 미래 성장을 이끌 새로운 동력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활성화 카드를 꺼내들었다. 결제 수단이 늘어나면 침체된 내수가 살아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란 복안도 깔려 있다.

5일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스마트폰 결제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NFC 결제란 스마트폰 속 유심(USIM)칩에 카드를 내려받아 요금을 결제하는 서비스다. 관련 부처와 업계 관계자는 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 모여 간담회를 열기로 했다. 이들은 국내 NFC 결제 서비스 현황과 향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미 NFC 결제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고 파급력은 얼마나 있을지 등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

정부는 이 서비스가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가트너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세계 모바일 결제 시장은 2011년 1059억 달러(약 108조9711억원), 2012년 1631억 달러, 지난해 2354억 달러로 2년 사이 배 이상 커졌다. 2017년엔 7210억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 내로라하는 정보기술(IT) 회사들도 스마트폰 결제 시장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특히 국내 시장은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활용도가 워낙 높아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카카오와 삼성전자도 관련 사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결제 서비스가 일반화될 경우 침체된 내수를 진작시키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을 단말기에 갖다대기만 하면 손쉽게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가게 주인이 소비자와 관련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마케팅 역량을 키우는데도 도움이 된다.

일단 국내에서 NFC 결제 시장이 커지면 이 기술을 해외에 수출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NFC 결제가) 괜찮은 솔루션이라면 세계 시장에 팔수도 있을 것”이라며 “그러려면 일단 국내에서 제대로 자리를 잡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1년에도 NFC 결제 사업을 키우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를 기획한 바 있다. 그러나 부처 간 이견과 카드사·통신사 간 갈등으로 흐지부지됐다. 이 때문에 이번엔 NFC 결제 사업을 새롭게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람들의 결제 습관은 바꾸기 어려운 만큼 장기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