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국민공감혁신위원회 구성… 계파갈등·밀실주의 깬다

입력 2014-08-06 02:16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이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비대위 구성과 운영 방향 등을 밝히고 있다. 왼쪽부터 박 비대위원장, 유은혜 한정애 의원. 김지훈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7·30재보선 참패 이후 당을 혁신하고 재건할 비상대책위원회의 명칭을 ‘국민공감혁신위원회’로 정하고 본격적인 혁신 논의에 시동을 걸었다. 박영선 비대위원장을 포함해 총 11명으로 비대위를 구성하고, 비대위원은 당 내외에서 5대 5 비율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는 오는 20일쯤 출범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감과 혁신 내세운 박(朴), “인재를 추천해 달라”=박 비대위원장은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변화와 혁신의 화려한 겉치레가 아닌 근본에서부터 출발하겠다”며 “낡은 과거와 관행으로부터 어떻게 지혜롭게 결별하느냐가 새정치연합의 미래와 직결돼 있다”고 밝혔다. 계파 갈등, 밀실주의 척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투쟁정당 이미지에서 벗어나 정의로움을 더욱 굳건히 세우는 일, 경제민주화와 복지에 근간을 둔 생활정치 실현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무당무사(無堂無私·당이 없으면 개인도 없다)와 무민무당(無民無堂·국민이 없으면 당도 없다)의 정신도 강조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당 안팎에서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인물’을 널리 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비대위는 국민 여론을 수렴하는 절차를 밟겠다”며 “국민 여러분이 비대위원으로 추천할 분이 있으면 당 홈페이지와 제 트위터·페이스북 등에 남겨 달라”고 호소했다. 공개 구인 작업에 들어간 것이다. 6·4지방선거와 7·30재보선에서 따가운 민심을 확인한 만큼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겠다는 것이다.

당내 비대위원으로는 초·재선, 중진, 원외 인사들이 골고루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 60여명에 이르는 초선 의원 중에서는 한 명이 비대위원에 포함된다. 통합 정신을 살리는 차원에서 안철수 전 공동대표 측 인사가 포함될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계파 갈등 재현, 과거 혁신안들의 좌초 등 좋지 않은 선례가 많다는 점이 외부 인사 영입 작업에 걸림돌이다.

◇전략공천 배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등 추진=지난주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는 의원들은 “공정성과 민주성의 원칙에 입각한 예측 가능한 정치”를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박 비대위원장은 “공직 후보자 선출방식에서 당내 문화에 이르기까지 원칙과 기율이 바로 선 정당을 만들겠다”며 “전략공천 배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등 선거제도 개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도 최근 “다음 총선에서 절대 전략공천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국내 정치현실상 전략공천을 아예 없애는 것은 쉽지 않지만 향후 여야가 공동 개혁 작업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다.

미국식 오픈프라이머리가 도입될 경우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이 공천과정에 참여할 수 있어 기존 당원 구조에 큰 변화가 일어난다. 새정치연합 최재성 오영식 조정식 전해철 의원 등 30여명은 지난 2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조직 동원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국회의원 선거나 광역단위 선거에 먼저 적용해볼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박 비대위원장은 당 일각에서 제기된 정의당과의 통합론에 대해서는 “열린 마음으로 생각해보겠다”고 대답했다. 또 민주정책연구원을 중심으로 선거 참패의 원인을 철저히 분석하겠다고 다짐했다. 사무총장 등 공석인 당직 인선에 대해서는 “순차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