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건국 직후 수도 서울(한양)의 인구는 얼마나 됐을까. 1395년(태조 4년) 실시된 호구조사에 따르면 도성 내 인구는 10만명 정도였다는 기록이 있다. 전란과 전염병에 따라 증감을 거듭하다 1942년 100만을 처음 돌파했다. 서울 인구는 88년 1000만을 넘어섰으나 이후 계속 정체돼 현재 1013만 선을 유지하고 있다.
제2도시 부산은 352만이고, 인천(289만) 대구(249만) 대전(153만) 광주(147만) 울산(116만) 순이다. 이들 6개 도시는 광역시다. 서울특별시와 광역시 중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는 곳은 인천뿐이다. 대구는 지금도 제3도시로 불리지만 인구로는 이미 12년 전 인천에 역전당했다. 서울과 부산은 각각 경기와 경남으로 인구가 빠져나가는 바람에 정체 또는 감소세다. 북한의 인구를 보면 수도 평양이 최근 300만을 돌파했다는 미국의소리(VOA) 방송 보도가 있었다. 함흥과 청진이 각각 75만과 65만으로 제2, 제3도시다. 도시화가 덜 된 데다 인구이동 통제로 대도시는 몇 안 된다.
서울 서북부 일산신도시가 포함된 경기도 고양이 지난 1일자로 인구 100만을 넘어섰다. 100만 이상 도시는 기초자치단체인 수원(116만) 창원(107만)에 이어 10번째다. 도청 소재지인 수원과 창원에 비해 주목도는 크게 떨어지지만 수도권의 또 다른 중핵도시가 탄생한 셈이다. 분당신도시가 있는 성남은 97만으로 100만 도시 등극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용인(95만)과 부천(87만)도 만만찮은 성장세다.
어느 도시 할 것 없이 인구 증가는 공무원들에게 가장 좋다. 행정 조직이 커져 자리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고양시의 경우 부단체장(부시장)이 1명에서 2명으로 늘고, 시 본청 2명과 시의회 사무국 1명 등 4급 직제 공무원이 3급으로 상향 조정된다. 4급 직제인 국도 하나 늘어난다. 5급 이하 공무원의 직급별·기관별 정원도 일정 범위 안에서 조정할 수 있으며, 각종 인허가 권한이 커진다. 승진과 갑(甲) 행세하는 낙에 산다는 공무원들에게 이런 경사가 어디 있겠나.
시민들에게도 혜택이 없는 건 아니다. 재정적으로 도세 징수액의 10% 이내 범위인 670억원의 교부세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시민 행복도시 건설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건 고양시라면 새로 생기는 돈은 전액 시민들을 위해 써야겠다. 100만 도시를 기념하는 각종 행사도 나름 의미가 있지만 더 중요한 건 서민 살림살이 개선이다.
성기철 논설위원 kcsung@kmib.co.kr
[한마당-성기철] 10번째 100만명 도시
입력 2014-08-06 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