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내 프랜차이즈 빵집 출점 논란과 관련해 SPC그룹이 절충안을 내놨다. 동반성장위원회가 긍정적 검토에 나서면서 사태 해결에 실마리가 보인다.
4일 동반성장위원회 등에 따르면 파리바게뜨 운영사인 SPC그룹은 지난달 말 동반위에 올림픽공원 내 점포를 제과점업 대신 일반음식점업으로 출점하겠다는 내용의 절충안을 제출했다. 대신 매출의 50% 이내에서 빵을 포함한 제과류를 판매하겠다는 조건을 단 것으로 알려졌다.
SPC그룹이 절충안을 마련한 것은 파리바게뜨 출점 사실이 알려진 후 대한제과협회 등 동네빵집의 반발이 거세진 데 따른 대응책으로 풀이된다. SPC그룹은 음식류와 제과류를 함께 판매할 수 있는 브랜드 출점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동반위는 절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지만 대한제과협회 등의 입장을 감안해 최종 결정을 내릴 계획이다. 논의 과정에서 제과류 매출 비율 등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올림픽공원 내 프랜차이즈 빵집 출점 논란은 지난 5월 시작됐다. SPC그룹은 CJ푸드빌이 뚜레쥬르를 운영하고 있던 올림픽공원 내 상가를 입찰받아 6월 중으로 파리바게뜨 점포를 열려고 했다.
하지만 동반위는 해당 점포 건너편 300m 안에 중소 제과점인 루이벨꾸가 있다며 출점 불가 입장을 밝혔다. 동반위는 지난해 2월 제과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하면서 대기업의 진입을 자제하도록 권고했다.
이에 대해 SPC그룹은 해당 상권이 인근 상권과는 따로 떨어진 별도 상권이기 때문에 ‘대기업 출점 거리 제한’(500m) 규정을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며 반발해 왔다. SPC그룹은 루이벨꾸 제과점 역시 카페베네가 운영했던 제과브랜드와 무관치 않다고 주장해 왔다.
제과협회 등은 SPC그룹의 반박에 대해 “SPC그룹이 동반성장 약속을 저버리고 꼼수로 파리바게뜨 출점을 시도하고 있다”며 강하게 비난해 왔다. 규탄 성명을 잇따라 발표한 데 이어 지난달 23일에는 규탄 기자회견을 열어 전면전을 선포하기도 했다.
한편 SPC그룹이 업종을 변경하려면 임대차 계약에 따라 올림픽공원 시설관리 사업자인 한국체육산업개발에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김현길 기자
올림픽공원 빵집 출점 논란 타결 실마리
입력 2014-08-05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