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비대위원장에 박영선 유력

입력 2014-08-04 03:04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당 대표 직무대행이 비상대책위원장에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 내부적으로는 문재인 의원 등 중진의원 차출, 외부인사 영입 등이 두루 논의 중이나 박 직무대행이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을 겸임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3일 기자들과 만나 "(다섯 차례의 비상회의에서) 박 직무대행이 맡아야 한다는 분명한 의견 흐름이 있었다"고 말했다. 지난 1일부터 사흘간 진행된 의견 수렴 과정에서는 의원 대부분이 박 직무대행의 비대위원장 겸임을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직무대행은 4일 열리는 의원총회 등에서 의견을 좀 더 청취한 뒤 최종 결론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박 직무대행은 선거 참패 이후 유일하게 살아남은 선출직 인사라는 점에서 정통성 시비가 없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런 만큼 비대위원장 자리를 놓고 벌어질 가능성이 높은 계파 간 갈등과 신경전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는 평가다. 한 재선의원은 "박 직무대행은 정통성 있는 원내대표"라며 "전당대회에서 선출했는데 비대위원장도 맡는 게 좋겠다는 것이 대체적 의견"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박 직무대행이 비대위원장을 맡을 경우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세월호 특별법 및 국정조사, 김영란법과 정부조직개편안 처리와 정기국회 기간 동안 국정감사, 예산안 처리 등을 동시 병행해야 한다는 부담이다. 원내대표까지 겸하니 당연히 국회 현안을 책임져야 하기 때문이다. 여야 간 팽팽하게 맞서 있는 여러 현안이 산적해 있는데 정기국회까지 책임지며 비대위원장을 겸임한다는 게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또 비대위가 전국 246명의 지역위원장 선출 등 계파 갈등이 터질 수 있는 민감한 문제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박 직무대행 본인에게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

일각에서 제기된 중진 차출론은 확실한 지지 세력을 가진 중진의원이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안정적인 개혁 드라이브가 가능하다는 논리다. 하지만 이번 비대위 구성에서조차 특정 계파에 힘이 쏠릴 경우 갈등만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문재인 의원과 김부겸 전 의원 등 일부 거명되는 중진들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전혀 고려해 본 적도 없다"며 일축했다. 문 의원은 비대위원장보다는 차기 당권에 관심을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김진표 송영길 전 의원, 박병석 원혜영 유인태 의원도 거론된다.

외부인사 영입론은 당내 찬반이 극명했다. 찬성파는 일반 국민 눈높이에서 중립적이고 참신한 개혁방안을 도입할 수 있다는 논리다. 김부겸 전 의원은 "18대 총선 당시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았던 박재승 변호사가 그때 야당으로서는 엄청난 혁신을 했던 적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18대 총선에서 야당은 수도권 111석 중 26석을 얻는 데 그쳤다. 호남의 한 중진의원은 "지금까지 외부에서 들어와서 성공한 적이 없지 않느냐"라며 "당 내부에서 비대위원장을 선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반박했다.

최승욱 임성수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