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재보선 참패 이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가닥이 잡힌 새정치민주연합이 세 가지 비대위 구성방안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박영선 현 당 대표 직무대행의 비대위원장 겸임과 문재인 의원 등 중진인사 차출, 외부인사 영입 등이 그것이다.
세 방안 중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것은 박 직무대행의 비대위원장 직행이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3일 기자들과 만나 “(다섯 차례의 비상회의를 통해) ‘박 직무대행이 맡아 달라’는 당내 의견의 분명한 흐름이 있었다”고 전했다. 박 직무대행은 선거 참패 이후 유일하게 살아남은 선출직 인사라는 점에서 정통성 시비가 없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런 만큼 비대위원장 자리를 놓고 벌어질 가능성이 높은 계파 간 갈등과 신경전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한 재선의원은 “박 직무대행이 정통성 있는 원내대표다. 전당대회에서 선출했는데 비대위원장도 맡는 게 좋겠다는 것이 당 소속 의원들의 대체적 의견”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박 직무대행이 비대위원장을 맡을 경우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세월호 특별법 및 국정조사, 김영란법과 정부조직개편안 처리와 정기국회 기간 동안 국정감사, 예산안 처리 등을 동시 병행해야 한다는 부담이다. 원내대표까지 겸하니 당연히 국회 현안을 책임져야 하기 때문이다. 여러 현안이 산적해 있는데 정기국회까지 책임지며 비대위원장을 겸임한다는 게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친노(친노무현)계와 486(40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등 각 계파 수장을 비롯한 중진 차출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확실한 지지 세력을 가진 중진의원이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안정적인 개혁 드라이브가 가능하다는 논리다. 박 직무대행은 원내문제라는 본연의 소임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비대위 구성에서조차 특정 계파에 힘이 쏠릴 경우 당의 계파 갈등만 노출될 위험성이 있다는 주장이 당 일각에서 나온다. 문재인 의원과 김부겸 전 의원 등 일부 거명되는 중진들은 “전혀 고려해 본 적도 없다”며 일축했다.
마지막으로 당 외부에서 능력 있는 인사를 영입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점차 영향력을 얻어가고 있지만 당내에선 찬반이 극명하게 갈린다. 찬성파는 계파에 얽매이지 않고 중립적 입장에서 참신한 개혁방안을 도입하고 실천하는 사람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부겸 전 의원은 “18대 총선 당시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았던 박재승 변호사가 그때 야당으로서는 엄청난 혁신을 했던 적이 있었다”며 “그 정도로 하지 않으면 또 매너리즘에 빠질 뿐”이라고 했다.
반면 반대파는 내부사정도 모르는 사람이 와서 당을 정비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한다. 3선인 최규성 의원은 “어찌됐든 당을 잘 아는 사람이 당을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승욱 임성수 기자 applesu@kmib.co.kr
[야당 이대론 안된다-(중)] 새정치연합 비대위원장 선출 경우의 수·장단점은
입력 2014-08-04 0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