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피아(철도+마피아)’ 비리가 까도까도 끝이 없다. 철도부품 납품업체 AVT사로부터 돈을 받은 전 새누리당 수석부대변인과 전 철도시설공단 감사가 구속되고 수사선상에 올랐던 전 철도시설공단 이사장과 수도권본부 간부는 자살했다. 지금까지의 검찰 수사는 빙산의 일각이었다. 검찰이 조현령 새누리당 의원 등 정치인 5∼6명이 철도 관련 업체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수뢰한 단서를 잡고 수사를 확대하면서 정·관계 게이트로 비화되고 있다.
조 의원은 철도시설공단 이사장으로 재직하던 2008∼2011년은 물론 의원 재직 시절에도 국내 최대 철도궤도업체인 삼표이앤씨로부터 억대의 금품을 받은 혐의다. 삼표이앤씨 측은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여야 다른 의원들에게도 금품 로비를 벌인 것으로 전해진다. 민간업체들과 정·관계의 비리사슬이 드러날 판이다. 검찰은 성역 없이 낱낱이 파헤쳐야 한다.
철피아 비리 수사는 관료와 업체들 간 유착이 세월호 참사의 한 원인으로 드러나자 박근혜 대통령이 관피아 비리척결을 강조하면서 시작됐다. 철피아와 해피아(해양수산부+마피아) 수사를 보면 수십년간 쌓인 적폐가 이곳만 있지는 않을 것이다. 정보통신이나 교육, 산업 등 권한이 많은 정부부처나 국회 상임위일수록 ‘악마의 유혹’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검찰은 다른 관피아 비리 수사도 속도를 내야 한다. 행여 국회가 특권을 이용해 관피아 비리에 연루된 정치인들을 감싸는 일은 없어야 한다.
관피아 비리로 온 나라가 떠들썩한데도 전직 청와대 수석비서관들과 고위 공무원들이 국회에서 공직자윤리법 개정안 처리가 미뤄지고 있는 틈을 타 대거 대기업과 로펌에 둥지를 틀 예정이라고 한다. 국가의 녹을 먹은 공직자들이 퇴직 후에 공직 경험을 이용해 돈 벌 궁리만 하고 있으니 딱한 일이다. ‘제2의 세월호’ 참사를 막으려면 낙하산 인사를 없애 아예 민·관 검은 유착의 싹이 트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사설] 철피아 비리연루 정치인 샅샅이 수사해야
입력 2014-08-02 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