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4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다수 등장한 진보성향 교육감들이 1일로 취임 한 달째를 맞았다. 이들은 그동안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미복귀 전임자 징계 문제, 자율형 사립고(자사고) 축소·폐지 등 민감한 현안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자사고 축소·폐지와 일반고 활성화에 가장 많은 공을 들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일보는 31일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조 교육감의 지난 1개월 일정을 제출받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자사고·일반고 관련 일정이 9회로 가장 많았다. 조 교육감은 지난 7일 ‘일반고 전성시대 태스크포스(TF)팀’ 격려 방문으로 자사고 축소·폐지에 시동을 걸었다. 이후 이해 당사자를 차례로 만나 의견을 청취했다. 14일 자사고 교장들과 만나 자신의 공약인 ‘자사고 폐지’에 대한 입장을 전달했고, 이튿날엔 자사고·일반고 일반 교사들과 동시 간담회를 진행했다. 16일 일반고 교장들과 만나 지원을 약속했다.
이후 ‘일반고 전성시대 권역별 토론회(18일)’ ‘공교육 혁신 미래 포럼(22일)’ ‘일반고 전성시대 100인 위원회 구성(25일)’ ‘자사고 입시안 발표(25일)’ ‘자사고 학부모 면담(30일)’ 등의 일정을 소화했다. 30일에는 자사고 축소·폐지 방침에 반발하는 자사고 학부모들을 만나 설득하려 했으나 입장 차만 확인했다.
전교조 문제 해결에도 적지 않은 시간을 썼다. 취임 이튿날인 지난 2일 양대 교원단체인 한국교직원단체총연합회와 전교조를 차례로 방문했고, 10일에는 전교조 위원장을 따로 만났다. 8일에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인 설훈 의원을 만나 “사회적 대화기구를 만들어 교원관계법 등을 개정해 전교조를 합법화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소신 행보로 눈길을 끌었다. 이 교육감은 안산동산고에 대해 자사고 재지정 평가 ‘탈락’을 통보했다. 전국 최초로 자사고를 일반고로 강제 전환시키는 절차에 돌입한 것이다. 올해 경기도 내 평가 대상 자사고는 안산동산고가 유일했다. 전교조 미복귀 전임자 문제도 이 교육감은 취임 첫날 “대법원 판결 후까지 후속 조치를 유보하겠다”며 교육부와 대립각을 세웠다. 다른 진보교육감들이 “실정법을 고려해 대응하겠다”며 다소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것과는 달랐다.
장휘국 광주교육감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으로 당선돼 주목받았다. 전교조 출신인 장 교육감은 다른 교육감들에게 전교조 문제에 대한 유연한 대처를 요청했다. 그는 또 직전의 교육감협의회가 교육부에 건의하는 수준의 소극적 역할에 머물렀다고 평가하면서 “협의회 의견이 국가 교육 정책에 적극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혀 교육부와의 마찰을 예고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일반고 살려라”… 자사고 축소·폐지에 공들여
입력 2014-08-01 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