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여 앞으로 다가온 2018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에 조양호(65) 한진그룹 회장이 선임됐다.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3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제10차 위원총회를 열고 조 회장을 새 위원장으로 선출했다. 조 위원장은 앞으로 2년간 위원장을 맡아 대회 준비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이로써 지난 21일 ‘자의반 타의반’으로 김진선 전 위원장이 사퇴한 이후 후임자 선임을 둘러싸고 정부와 강원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간 벌인 불협화음도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됐다.
그러나 김 전 위원장 사퇴 이후 신임 위원장 선임 때까지 보여준 정부의 갈지자 인사 행태는 국제스포츠무대에 대한 우리 정부의 이해부족을 여실히 드러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는 후임 위원장에 강원도 출신의 실무형 위원장 영입을 추진하면서 인천공항공사 사장을 역임한 정창수 전 국토해양부 1차관을 내정했다. 조직위가 거액의 빚으로 운영되는데도 자체 수익을 위한 마케팅활동이 지지부진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정 전 차관은 곧바로 IOC의 반발에 부닥쳤다. 정 전 차관은 체육계 활동 경험이 없어 국제스포츠무대에 인적네트워크가 전혀 없었다. IOC는 오랜 기간 쌓아온 인맥과 안면이 주요 소통 수단이었지만 정부는 이를 간과했다. 3년 여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을 위해 조직위와 면밀한 협조가 필요했던 IOC로서는 전혀 모르는 인물이 신임 위원장이 됐을 경우 평창 유치 때 유치위원회가 약속했던 각종 공약을 재확약받을 수 없었던 것도 정 전 차관 낙마의 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결국 정부는 유치위원장을 지낸 조 회장에게 손을 내밀 수 밖에 없었다. 조 회장은 김 전 위원장이 사퇴한 직후 어려움에 처한 그룹 경영에 전념하기 위해 후임 위원장을 고사하겠다고 밝힌 뒤였다. 조 위원장은 “국내외 여러 지인의 권고가 있었고 유치위원장을 하면서 IOC에 조직위원장을 맡겠다고 한 약속을 지켜야 했기 때문”이라고 마음을 바꾼 이유를 해명했다.
김종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은 이번 위원장 선임과 관련, “강원도민 여러분께 절차적인 문제로 심려를 끼쳐 드려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이례적으로 사과했다.
서완석 국장기자 wssuh@kmib.co.kr
[타임아웃] 평창올림픽조직위원장 선임 ‘갈팡질팡 정부’
입력 2014-08-01 0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