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끊이지 않는 열차사고 시민들은 불안하다

입력 2014-07-31 02:33
철길이 심상치 않다. 하루가 멀다 하고 발생하는 사고로 열차가 언제, 어디서 멈춰 설지 몰라 시민들은 늘 불안하다. 시민의 발이 돼야 할 철도가 오히려 족쇄가 되는 일이 최근 급증하고 있다. 30일 오전 서울 구로역사와 옆 건물을 잇는 통로 화장실에서 불이 나 전동차와 KTX 운행이 한 시간가량 중단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합선이나 누전으로 추정되는 화재로 배전반이 훼손돼 선로신호기에 장애가 발생한 탓이다. 이로 인해 승객들은 대체 교통편을 구하느라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이틀 전에는 용산역에서 이촌역으로 접근하던 중앙선 열차가 보조전원공급장치(SIV) 이상으로 멈춰 서는 사고가 있었다. 이 사고로 300여명의 승객이 한 시간 반 동안 열차에 갇혀 찜통더위와 씨름해야 했다. 그런데도 코레일은 안내방송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승객들을 방치했다.

철도는 잦은 사고와 고장으로 ‘사고철’ ‘고장철’로 불린 지 오래다. 지난 5월 이후 발생한 사고만 보더라도 서울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추돌, 경인선 전동차 역주행, 서울지하철 4호선 금정역 전동차 전기절연장치 폭발, 부산지하철 1호선 화재, 태백 영동선 열차 충돌, 서울지하철 4호선 산본역 전동차 변압기 폭발 등 아찔했던 순간이 한둘이 아니다. 화물열차 사고는 제외했는데도 이 정도다. 승객들의 불편은 차치하고 적잖은 인명 피해도 발생했다.

철도사고 대부분은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인재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도 지난해 취임사에서 “2011년 광명역 탈선사고, 대구역 열차사고 등 최근의 사고들은 한결같이 인재”라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겠다고 했다.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 4월 서울지하철 4호선 삼각지역 열차 탈선사고 이후 사고 예방을 위한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했다. 그러나 그 뒤 사고가 급증했다는 사실은 정부의 안전점검이 얼마나 형식적이고 부실했는지 말해준다. 정부 등에서 내놓은 대책들도 열차 사용연한 축소 등 땜질식 처방에 그치고 있다. 구호만 요란할 뿐 우리의 안전의식은 여전히 세월호 참사 이전에 머물러 있다.

검찰의 ‘철피아’ 수사로 철도시설공단의 썩은 속이 드러나고 있다. 철도 안전을 책임진 철도시설공단이 잿밥에만 관심이 있으니 ‘안전 최우선’을 실천에 옮길 리 만무하다. 20조원 가까운 부채를 안고 있는 코레일은 안전시설 투자보다는 부채 감축에 치중하고 있다. 이래저래 승객 안전이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철도의 생명은 정시성과 안전성에 있다. ‘번개가 잦으면 천둥을 한다’는 속담이 있다. 더 큰 사고를 막기 위한 인적·물적 시스템의 철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