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재보선] ‘롤러코스터 판세’… 주요 변곡점마다 출렁

입력 2014-07-31 02:27

7·30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판세는 롤러코스터처럼 출렁거렸다. 선거 전망이 불과 한 달 사이에 ‘여당 참패’에서 ‘야권 수도권 완패’, 다시 ‘수도권 초접전’이 되는 등 양극단을 오갔다. 공천 등 여야 내부 문제뿐 아니라 박근혜정부 인사 참사, 유병언 시신 발견 등 대형 사건도 선거의 중요한 변곡점이 됐다.

선거 초반만 해도 ‘세월호 참사’ 여파로 여당이 불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세월호 사고 이후 드러난 무기력한 정부 대응의 문제점, 안대희 문창극 총리 후보의 연속 낙마와 정홍원 총리 유임 등 인사 참사가 여당에 그림자를 드리웠다. 새누리당에서는 “텃밭인 영남을 제외하고는 전 지역에서 참패할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번졌다.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이 급락하면서 새누리당이 처음으로 대통령을 앞세우지 않는 선거전을 치렀다.

하지만 공천 파동이 야당으로 기울던 초반 판세를 뒤엎었다. 여야 모두 공천을 두고 갈등을 겪었지만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몸살이 더 심했다. 새정치연합은 광주 광산을 공천부터 첫 단추를 잘못 꿰었다. 안철수 김한길 공동대표가 이 지역에 공모를 신청한 기동민 후보를 난데없이 지난 3일 서울 동작을로 전략공천한 것이다. 동작을에 지원했던 허동준 전 동작을 지역위원장은 ‘패륜공천’이라며 당 대표실을 점거했고, 안 대표의 최측근인 금태섭 전 대변인도 대변인직을 사퇴하면서 사실상 안 대표와 결별했다.

안·김 공동대표는 광주 광산을에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에 대한 경찰 축소수사 의혹을 폭로했던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을 전략공천했다. 새누리당은 ‘거짓 폭로에 대한 보은 공천’이라며 거세게 비판했고,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도 ‘진심이 의심받을 수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후 권 후보 배우자의 재산신고 누락 의혹마저 불거지면서 논란은 더 불이 붙었다. ‘권은희 논란’이 야권 지지자들을 실망시켜 수도권 접전지까지 나쁜 영향을 미쳤다는 우려가 쏟아졌다. ‘수도권 야권 참패론’이 돌기 시작했다.

반면 새누리당은 공천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정리됐다. 당 지도부는 당초 경기 평택을에 지원했던 임태희 후보를 경기 수원정(영통)으로 전략공천하고, 서울 동작을에는 나경원 후보를 전략공천했다. 불모지인 전남 순천·곡성에는 이정현 전 청와대 홍보수석을 공천하면서 ‘이정현 바람’을 만들어냈다. 지난 14일 전당대회에서 김무성 지도부가 선출되면서 당내 결속에도 속도가 붙었다.

그러나 여당 우세론은 얼마 가지 못하고 ‘죽은 유병언’에 발목이 잡혔다. 여당이 선거전에 기세를 올릴 즈음인 지난 22일, 한 달여 전(6월 12일)에 전남 순천시 매실밭에서 발견된 변사체가 유씨라는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검·경의 무능이 민낯을 드러내면서 여론은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폭발했다.

이런 상황에서 야권 단일화가 이뤄지면서 여권으로 기울던 판세에 제동이 걸렸다. 동작을에 전략공천된 기동민 후보는 지난 24일 정의당 노회찬 후보와 단일화 협상 끝에 자진 사퇴하며 노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화답하듯 경기 수원병(팔달)과 수원정(영통)에서 정의당 후보들이 사퇴하면서 사실상 ‘당 대 당’ 연대 모양새를 연출했다.

논란이 됐던 ‘후보 재산신고’ 부분도 새정치연합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광주선관위는 지난 27일 새정치연합 권 후보의 재산 신고는 법적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반면 경기선관위는 새누리당 김용남 후보(수원병)의 경우 재산 신고가 누락됐다며 정정 공고문을 투표소에 붙이도록 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