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저우융캉 조사 착수… 엄중한 기율위반”

입력 2014-07-30 04:36 수정 2014-07-30 04:22

중국 당국이 저우융캉(周永康·72·사진) 전 정치국 상무위원 겸 정법위원회 서기에 대해 공식 조사착수 사실을 발표했다. 그동안 사법처리설이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공식 발표는 이번이 처음이다. 저우 전 서기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비리 문제로 처벌받는 최고위 인사로 기록될 전망이다.

중국 공산당 최고 감찰기구인 중앙기율검사위는 29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저우융캉의 엄중한 기율 위반 문제와 관련한 사건을 정식 접수해 심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우 전 서기에 대한 구체적인 혐의는 밝히지 않았지만 통상 발표 내용 중 '엄중한 기율 위반'은 부정·비리와 연관돼 왔다.

신화통신과 CCTV 등 중국 언론들은 일제히 저우 전 서기에 대한 조사 착수 사실을 보도했다. 홍콩 언론들은 이미 저우 전 서기가 가택연금 상태에 있다고 전했다.

저우 전 서기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체제 들어 뇌물수수, 정변기도 등 각종 부정부패 혐의로 당국의 내사를 받아왔다는 관측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중국 당국은 지난 1년여 동안 저우 전 서기의 양대 인맥으로 분류돼온 '쓰촨방'과 '석유방' 인사들을 대거 낙마시키며 그를 정면으로 겨냥해 왔다.

지난 2일에는 저우 전 서기의 비서를 지낸 지원린 전 하이난성 부성장 등 최측근 3명이 동시에 당적을 박탈당하면서 그에 조사도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바로 앞서 지난달 30일 군 부패의 몸통으로 지목돼 당적을 박탈당한 쉬차이허우 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도 저우 전 서기와 연관돼 있다는 얘기가 돌았다.

저우 전 서기는 석유와 에너지 관련 업무를 관장하다 쓰촨성 서기를 거쳐 2007년 중국 최고 권력집단인 9인의 정치국 상무위원 자리에 올라섰다. 2012년 시 주석 체제가 들어서기 전까지 정법위 서기로 중국의 정치 및 법률 부문을 관장했다. 특히 중앙정법위 서기가 정치국 상무위원을 겸임하면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하지만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 당서기 사건 처리와 관련해 시 주석과 맞서면서 몰락을 자초하게 됐다. 저우 전 서기가 처벌될 경우 국가 최고지도자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정치국 상임위원들에게는 일종의 '면책특권'을 보장해온 중국 공산당의 관례도 깨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