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까지 공개수배 명단에 이름이 올라 있던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운전기사 양회정(56·사진)씨가 29일 검찰에 자수했다. 그는 ‘유 전 회장 사망으로 인한 충격’에 자수를 결심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검찰은 국내 핵심 조력자의 신병을 모두 확보했다. 그러나 이들조차 5월 25일 검찰의 전남 순천 ‘숲속의 추억’ 별장 급습 이후에는 유 전 회장의 행적을 모른다고 진술하고 있어 유씨의 사망 원인과 경위는 미스터리로 남을 가능성이 커졌다.
인천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헌상 2차장검사)은 이날 오전 8시쯤 양씨가 인천지검에 찾아와 자수했다고 밝혔다. 양씨는 검찰 조사에서 “유 전 회장 사망 소식을 접한 뒤 충격을 받고 사흘 전부터 자수 여부를 갈등했다”며 “어제 아내(유희자·52)가 석방되는 것을 보고 자수를 결심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양씨는 지난 28일 자수한 김명숙(59·여·일명 김엄마)씨, 부인 유희자씨처럼 29일 오전 6시29분 인천지검 당직실로 전화해 자수 의사를 먼저 밝혔다. 양씨는 자수 직전까지 경기도 안성 금수원에 머물고 있었다고 한다.
양씨는 유 전 회장의 사망 경위를 밝힐 핵심 인물로 지목돼 왔다. 5월 3일 유 전 회장이 순천 별장으로 은신처를 옮길 때 유 전 회장이 탄 차를 직접 몰았다. 이후 별장 근처 기독교복음침례회(일명 구원파) 야망연수원에서 생활했다. 별장을 오가며 유 전 회장 도피에 필요한 심부름 등을 했다고 한다. 평소 금수원에서 유 전 회장의 식사 준비를 담당했다는 김엄마도 5∼6차례 별장에 내려가 밥을 지어주곤 한 것으로 검찰 조사 결과 드러났다.
양씨는 검·경 추적팀의 별장 급습 직전인 5월 25일 새벽 야망연수원을 수색하러 온 검찰 수사관을 보고 홀로 도주했다. 그는 “5월 23일 또는 24일 별장에서 유 전 회장을 본 것이 마지막이었다”며 “이후 유 전 회장과 따로 연락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당시 전북 전주의 한 장례식장에 차량을 버린 뒤 금수원으로 들어간 양씨는 김엄마를 만나 대책을 논의했지만 유 전 회장을 다시 구하러 가는 등의 조치는 하지 못했다고 한다. 양씨조차 별장 급습 이후 유 전 회장 상황을 몰랐다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진술의 신빙성을 따지는 중”이라고 말했다.
양씨는 유 전 회장 시신이 매실밭에서 발견된 이유나 사망 시점, 변사한 이유 등에 대해 “모르겠다”는 진술을 반복하고 있다. 검찰이 양씨로부터 유의미한 진술을 얻어내지 못할 경우 유 전 회장의 사망 경위는 미궁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다만 유 전 회장을 별장에 두고 도망칠 당시 유 전 회장 주변에 ‘제3의 조력자’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 말이 맞는다면 유 전 회장은 별장 내 밀실에 숨어 검찰의 급습을 따돌린 뒤 별장 뒤편 야산으로 ‘홀로’ 도주하다 사망했을 가능성이 커진다. 검찰은 양씨와 유 전 회장의 행적 등을 정밀 조사한 뒤 석방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유병언 사망 원인 결국 미궁에
입력 2014-07-30 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