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노사 갈등에 따른 파업으로 해마다 골머리를 앓고 있는 전북 전주시가 근본적인 대중교통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고질적인 시내버스 운행 정지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을 줄일 근본 해결책이 나올지 주목된다.
전주시는 시민교통본부를 신설하는 것을 뼈대로 한 조직개편안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시민교통본부는 되풀이되는 시내버스 파업으로 큰 불편을 겪는 시민들의 편의를 중심으로 버스체계를 개편하기 위한 것이다. 시는 지난 5일간 시의회와 언론, 전문가, 시민단체, 공무원 등의 의견을 수렴한 뒤 이 같은 개편안을 결정했다.
시는 30일 개정안을 입법예고할 계획이다. 이어 9월 시의회에 개정안을 상정하고, 통과되면 10월쯤 조직개편을 단행하기로 했다. 시민교통본부 신설은 김승수 시장의 지방선거 공약 중의 핵심이었다. 앞으로 시민교통본부는 버스 운행 체계를 개편하는 한편 미래 대중교통 계획을 전담해 나갈 예정이다. 더불어 전주시는 다음달 중 ‘전주시내버스 대타협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위원회에는 노사는 물론 정계와 시민·시민사회단체 등을 참여시킬 계획이다. 노조와 사측의 신뢰 회복은 물론 무파업선언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해마다 노사 분쟁으로 시민들의 이동권이 위협받고 있어 안타까웠다”며 “삶의 질을 높이고 시민 중심의 교통기능을 강화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최근 3∼4년간 시내버스 노사 갈등으로 파업이 반복돼 시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어 왔다. 올해도 신성여객 운전기사 진기승씨의 자살로 노조가 농성과 파업을 80여일 간 진행했다. 다행히 지난 1일 취임한 김 시장의 적극적인 중재로 파업이 극적으로 타결됐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주시, 파업 해결대책 나오나… 시민교통본부 연내 신설 ‘잰걸음’
입력 2014-07-30 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