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인구 위기’] 日, 고령화로 인력 부족 심각

입력 2014-07-29 02:08
일본이 저출산·고령화 심화로 22년 만에 최대 구인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이후 인력 부족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8일 ‘일본 저출산 재앙이 인력 부족으로 현실화, 기업의 대응책’이란 보고서를 통해 지난 5월 일본의 유효구인배율이 1.09배로 7개월째 1.0배를 웃돌고 있다고 밝혔다. 유효구인배율은 전국 공공 직업안내소에 접수된 구직자 수에서 구인 수를 나눈 값으로, 1을 넘어서면 기업의 일자리가 구직자보다 많다는 뜻이다.

특히 1.09배라는 유효구인배율은 1992년 6월(1.10배) 이후 최대치다. 아베노믹스로 경기가 회복되면서 인력 수요는 증가한 반면 인력 수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일본 산업현장의 인력 부족 원인은 1990년대부터 진행된 저출산·고령화에서 찾을 수 있다. 일본에서 생산가능인구(14∼65세)가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96년 69.5%를 정점으로 떨어지기 시작해 지난해에는 62.0%까지로 내려갔다.

이에 따라 일본 기업들은 인력 부족 문제로 인력 쟁탈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해 비정규직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해 숙련 인력을 양성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아예 비정규직 중심으로 뽑아 인건비를 최소화하는 흐름도 있다.

박기임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한국 역시 저출산·고령화 심화로 머지않아 인력 부족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는 향후 10년 이내 산업 현장에서의 숙련 단절을 막기 위한 중소기업 기능전수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