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최전방 지역인 인제지역 소상공인들이 군(軍) 부대가 운영하는 복지회관 때문에 줄도산 위기에 처했다며 정부차원의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인제군과 인제군소상공인연합회에 따르면 28일 현재 육군은 군인 복지를 위해 북면과 기린면, 남면에 각각 2곳, 서화면 1곳 등 모두 7곳에서 군 복지회관을 운영 중이다. 군 간부와 가족, 예비역 간부 등을 위해 영외에 설치된 이 시설에는 식당, 목욕탕, 숙박, 이·미용실, 골프연습장, 노래방 등이 갖춰져 있다. 이용요금은 숙박비 7000∼1만원, 삼겹살 1인분 6000원, 목욕비 1000원 등으로 시중 가격의 절반도 안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인제군민 3만2000여명과 맞먹는 군인 3만여명이 지역의 상점이나 시설들을 이용하기보다 복지회관을 이용하고 있다. 더욱이 출입이 금지된 일반인들 역시 복지회관을 자유롭게 이용하면서 지역 상권이 붕괴되고 있다는 게 소상공인연합회의 주장이다.
채수군(58) 소상공인연합회장은 “군에 지인이 있거나 군인과 동반하면 별다른 제지 없이 복지회관을 이용할 수 있다”면서 “복지회관 운영에 따른 여파로 문 닫은 곳이 한두 곳이 아니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특히 오는 10월 남면 어론리에 대형 복지회관이 추가로 들어설 것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소상공인회에 비상이 걸렸다. 결국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24일 긴급회의를 열고 지역 사회단체와 상인 등 1000여명의 서명이 담긴 탄원서를 청와대에 발송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탄원서에서 “국방부가 운영하는 복지회관이 비정상적으로 운영돼 소상공인들이 너무 벅차고 힘든 삶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비정상적이고 불공정한 국방부의 영업행위를 시정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민간인의 복지회관 출입을 막기 위해 사진이 부착된 출입증을 발급해 운영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지역상권 보호를 위해 보다 철저히 민간인 출입을 통제하겠다”고 밝혔다.
인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軍 운영 복지회관에 일반인 출입 허용… 인제군 소상공인들 “상권 붕괴” 대책 촉구
입력 2014-07-29 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