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재보선은 무려 15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미니 총선’이라 불렸다. 직전에 치러진 6·4 지방선거가 여야 무승부로 끝났기에 진검승부를 가리는 결승전이란 의미 부여도 틀린 게 아니다. 따라서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사활을 걸고 격전을 벌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하겠다. 민주국가에서 정당이 국민의 선택을 받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것은 결코 손가락질 받을 일이 아니다. 정강정책과 대국민 공약을 적극 홍보하다 보면 다소 과열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선 미래를 위한 비전이나 국민을 위한 공약은 도무지 찾아볼 수 없고, 시종일관 야권연대와 세월호 특별법을 놓고 정치공방을 벌여 실망스럽다. 말로는 국리민복을 부르짖으면서 실제로는 수단과 방법 가리지 않고 표심 공략에 매달려 있다. 세월호 참사라는 엄청난 비극을 겪었음에도 2년여 전 19대 총선 때와 달라진 건 아무것도 없다.
야권연대는 서울 동작을에 노회찬 후보를 공천한 정의당의 구애와 전체 선거전 승리를 꿈꾸는 새정치연합의 목표가 맞아떨어져 초반부터 쟁점이었다. 새누리당은 기를 쓰고 막으려던 야권연대가 성사되자 야합이라고 몰아붙이고 있다. 이번 야권연대는 두 당의 노선과 정책이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19대 총선이나 6·4지방선거 때처럼 비난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사실상 전국적인 선거를 치르면서도 국민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공약 하나 내놓지 못한 것은 안타깝다. 상대방의 잘못을 줄기차게 비판하는 것으로 선거를 끝내겠다는 것은 집권당으로서 올바른 자세가 아니다.
세월호 특별법은 이번 선거와 무관하게 하루 빨리 제정해야 할 국가적 과제다. 그러나 선거 때문에 너무 심하게 정치화되고 말았다. 새누리당은 초기 대야 협상에서 지나치게 소극적으로 임한 측면을 부인하기 어렵다. 대통령과 정부를 보호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렇다고 새정치연합이 특별법 문제를 선거전에 이용하려는 모습은 보기에 딱하다. 세월호 참사에 분노한 민심을 붙들기 위한 선거 전략이겠지만 과도한 요구나 주장은 자칫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겠다. 일부 소속 의원들의 광화문 단식이나 국회의사당 농성이 과연 적절한 것인지 되새겨보기 바란다. 세월호 특별법은 여야 협상으로 풀어야지 선거를 의식한 장외투쟁의 명분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여당을 환골탈태시키겠다는 김무성 대표와 새 정치를 표방한 안철수·김한길 제1야당 공동대표에게서 국민들은 희망을 볼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헐뜯기 선거운동으로는 그것이 불가능하다. 여야 지도부의 국민 친화형 정치가 시급한 이유다.
[사설] 7·30 미니총선이라면서 서로 헐뜯는 게 고작
입력 2014-07-29 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