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의무휴업 논란 다시 활활

입력 2014-07-28 02:58
“일요일에 가족이 함께 장을 자주 보는데 항상 휴업일인지 신경 쓰면서 다녔어요. 이제 안 그래도 되니 좋아요.” 27일 홈플러스 경기도 김포점에 장을 보러 온 차미라(41·여·김포 통진읍)씨는 대형마트 일요일 영업을 무척 반겼다.

김포시는 지난 23일부터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매달 둘째·넷째 일요일에서 둘째·넷째 수요일로 옮겼다. 경기도 하남시, 강원도 강릉시 등 14개 지방자치단체에 이어 15번째다. 소비자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등 김포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대형마트 평일 휴무일을 도입하면서 공휴일 의무 휴업 효과에 대한 논란에 다시 불이 붙고 있다.

2012년 4월 대형마트 휴일 의무 휴업제도가 도입된 이후 대형마트 측은 고객이 몰리는 일요일에 문을 닫는 것은 소비심리만 가라앉힐 뿐 전통시장에 별다른 이득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해 왔다. 올해 상반기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는 매출 부진의 이유로 소비심리 침체와 영업규제 강화를 꼽았다.

이마트 관계자는 “대형마트가 문 닫는 날에는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에서 장을 보는 건 아니므로 결국 영업규제가 내수 활성화에 걸림돌이 될 뿐”이라고 강조했다. 김포시도 대형마트의 공휴일 휴무 시 시민들이 고양시 등 인근 지역의 대형마트를 이용해 장거리 쇼핑에 따른 불편이 가중되는 것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 역행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평일로 의무 휴업일을 바꿨다.

반면 소상공인들은 대형마트 의무 휴업으로 전통시장이 얻는 반사이익이 분명히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의 균형 발전을 위해서도 이 제도가 계속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올 초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SSM) 주변의 중소 소매업체와 전통시장 점포 537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의무 휴업제도가 도입된 2012년 4월부터 9월까지 이들 점포의 대형마트 휴업일 매출은 전주 대비 1.2∼13.9% 늘었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자포자기했던 골목상가들이 의무 휴업제도 도입 이후 희망을 갖고 생업에 종사하고 있다”면서 “균형발전과 대형마트·골목상권의 상생을 위해 불편을 감수할 수 있다는 ‘공익 의식’이 대중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지금 대형마트들이 재래시장과 공존을 위해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인천 청라 대형마트가 휴업일이라 홈플러스 김포점을 찾았다는 김정운(43·여·인천 서구 청라라인로)씨는 “대형마트는 필요한 품목을 한꺼번에 살 수 있어 좋고 주차도 편리해 자주 찾는다”고 말했다. 재래시장과 골목상가들이 귀담아들어야 할 부분이다. 더 나은 쇼핑 환경과 상품·서비스 개발에 적극 나서지 않는다면 대형마트 의무 휴업은 소비자 불편만 초래하는 ‘나쁜 제도’에 그칠 수 있다.

김혜림 선임기자 m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