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전국 단위 선거가 늘 그랬듯 7·30 재·보궐 선거에서도 막판에 판세를 바꿀 굵직한 변수들이 부상하고 있다. 이제는 상수(常數)로 받아들여지는 야권의 후보 단일화 이슈가 또 터졌는가 하면 ‘유병언 부실수사 후폭풍’ 같은 돌발변수도 불거졌다. 정부와 청와대가 주도하고 여당이 지원사격을 하는 경기부양 드라이브를 두고선 여야의 시각이 엇갈린다.
◇단일화 시너지냐, 보수층 결집이냐=서울 동작을, 경기 수원병(팔달)·수원정(영통)에서 연쇄적으로 야권 후보 단일화가 진행되자 여야의 손익계산도 분주해졌다. 분산됐던 야권 성향 표가 합쳐진다는 점에서 야당이 이전보다 이득을 보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단순 표 합산에 더해 야당 후보가 추가로 얻는 ‘시너지 효과’가 더 클지, 위기감을 느낀 여당 지지층의 응집도가 더 강력할지는 아직까지 불투명하다. 이와 관련해 여당은 야당을 겨냥해 원색적인 비난을 쏟아붓는 반면 야당은 단일화의 정당성을 강조하면서 각자 지지층 결집에 나섰다.
후보 단일화에 따라 불가피하게 발생될 사표(死票)도 주요 변수다. 25일부터 이틀간 실시되는 사전투표는 현장에서 투표용지가 출력되는 만큼 사퇴한 후보에 ‘사퇴’ 표시가 돼 있다. 하지만 30일 본투표 용지는 이미 인쇄가 끝나 사퇴한 후보에 대한 별도 표시가 없다. 후보직을 던진 후보에게 그 사실을 모르는 유권자가 투표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 사표의 규모가 당락을 가를 수도 있다.
◇유병언 후폭풍에 고심하는 여당, 반색하는 야당=유 전 세모그룹 회장의 시신 발견과 그 이후 검찰, 경찰의 미흡한 조처들이 잇따라 드러난 것은 전혀 예상되지 못했던 변수다. 초반 당황했던 정치권은 전열을 가다듬고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는 모습이다.
일단 야당은 맹공을 퍼붓고 있다. 세월호 침몰 사고 수습 과정에서 정부가 드러낸 무능함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사고 이후 유 전 회장의 거취가 초미의 관심사였던 만큼 시신 발견 자체의 주목도가 높은 상황이다.
야당은 특히 유 전 회장이 이미 사망한 시점에 체포를 독려했던 박근혜 대통령을 정조준하며 여권을 싸잡아 비판하고 나섰다. 새정치연합 김한길 대표는 수원 영통구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며 “유병언 변사체 관련 의혹과 불신이 난무한다”며 “유병언 체포를 직접 진두지휘한 대통령이 국민에게 직접 설명해야 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수세에 몰린 여권이 검찰·경찰 등 수사기관 책임자를 극적으로 문책하면서 민심의 반전을 노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선거판에 꽂힌 경기부양 화살=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신호탄을 쏘아올린 경기부양 드라이브는 여당 입장에서 든든한 지원군이다. 먹고사는 문제에 민감한 중도층이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여권 지지층으로 일부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충남 서산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선거는 침체된 경제를 살리느냐 아니면 정쟁으로 장기 침체의 늪에 빠지느냐 그런 선택의 선거”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여당은 새 경제팀의 내수 활성화, 민생안정, 경제혁신 정책 방향에 크게 공감하고 정부의 선제적이고 과감한 경기부양책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재보선에 영향을 주려는 선거용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평가절하’하는 분위기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뉴스분석-7·30 재보선 막판 3대 변수] 야권 후보 단일화-유병언 부실수사 후폭풍-정부 경기부양 드라이브
입력 2014-07-26 0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