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韓·日, 인내심 갖고 대화 기류 이어가길

입력 2014-07-26 02:50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청와대에서 마스조에 요이치 일본 도쿄도지사를 접견했다. 작년 2월 취임 축하차 방한한 아소 다로 부총리 일행을 만난 뒤 1년 반이 가깝도록 일본 정계 인사를 접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기에 충분하다. 박 대통령이 대일 외교 원칙은 유지하되 양국 관계 경색을 풀기 위한 대화에는 응하겠다는 자세를 보인 셈이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일본의 올바른 과거사 인식을 통한 신뢰 회복과 일본 정치인들의 노력이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한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위안부에 대해서는 “한국과 일본 두 나라를 뛰어넘어 보편적 여성 인권의 문제”라면서 진정성 있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일본 사회에 확산되고 있는 혐한 시위가 재발하지 않도록 애써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마침 유엔 시민적·정치적 권리위원회는 일본 정부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에게 공개 사과하고 배상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 담화’를 훼손한 일본 정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고다. 일본 정계 일각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진전된 조치를 내놓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 것도 주목할 만하다.

마스조에 지사는 박 대통령에게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아베 신조 총리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는 방한 전 아베 총리를 만나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건의했고 아베 총리도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말에 그쳐선 안 된다. 아베 총리는 진정성을 더 보여야 한다.

한·일 간 대화 기류는 박근혜정부 2기 내각 출범과 맞물려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주일 대사를 지낸 이병기 국정원장이 대일 관계 개선 필요성을 건의하고 있는 데다 원로 지일파인 유흥수 전 의원이 신임 주일 대사로 내정된 점 등도 이러한 관측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단기간에 양국 관계가 크게 개선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한·중 밀월만큼이나 한·일 관계 복원 또는 한·미·일 공조체제 구축이 소중하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