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유병언 시신 둘러싼 의혹들 최대한 해소해야

입력 2014-07-26 02:40
국과수가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시신에 대한 정밀 감식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유병언은 틀림없지만 정확한 사망 원인은 판명할 수 없다’는 것이 요지다. 이에 따라 유씨가 도주하다 탈진으로 자연사했는지, 누군가에게 맞거나 목을 졸려 죽임을 당했는지 지금으로선 알 수 없게 됐다.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유씨 시신이 오래 방치되는 바람에 대부분의 장기가 너무 부패해 소실됐기 때문이다. 경찰이 지난달 12일 발견된 변사체가 유씨일 개연성에 주목하고 검찰과의 공조 아래 서둘러 정밀 감식을 의뢰했다면 사인을 밝힐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는 점에서 경찰과 검찰의 무능을 다시 질타하지 않을 수 없다. 명확한 사망 원인이 규명되지 못함에 따라 유씨에 대한 각종 의혹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부 의혹이 국과수에 의해 입증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국과수는 불과 17∼18일 만에 반백골화 상태가 될 수 있느냐는 논란에 대해 외국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밝혔고, 시신이 바뀌었을 것이라는 의혹에 대해서는 1차 부검과 정밀 부검 때 촬영된 유씨 치아 사진을 제시하면서 같은 시신이라는 것을 직접 해명했다. 하지만 아직도 구원파 내부 갈등에 의한 타살설, 이복동생 시신설, 아직 어디엔가 살아있다는 생존설 등 유씨에 대한 각종 의혹이나 음모론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이에 따라 공은 다시 수사 당국으로 넘어갔다. 사인 규명은 시신 부검만으로만 하는 게 아니라 유씨의 행적과 현장에서 얻은 단서를 종합 분석해서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헛발질로 국민적 지탄을 받아온 검·경의 역할이 더욱 커졌다는 의미다. 부실 수사에다 ‘네 탓’ 공방까지 총체적 난맥상을 보였던 검·경은 치밀한 수사와 물샐 틈 없는 공조로 유씨의 최후 행적을 규명해야 한다. 그리고 관련 인물과 증거자료도 원점에서 다시 조사해 유씨 사인에 대한 실체적 진실에 접근해야 한다. 이것만이 검·경이 다시 국민들로부터 사랑받을 수 있는 마지막 길임을 명심해야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