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임시총회가 23일 개최됐다. 민선 2기 교육감들이 처음으로 모인 자리였다. 교육감들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미복귀 전임자 징계와 자율형 사립고(자사고) 재지정 문제 등에 대한 공동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전교조 미복귀 전임자에 대한 중징계는 곤란하다는 공감대는 형성됐지만 구체적인 대응 방식에서는 일부 이견이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16개 시·도교육감들은 서울 서초구 한 호텔에서 총회를 열고 민감한 교육 현안 등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회의를 주관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세월호 충격 이후 달라진 한국 교육을 만들어달라는 큰 책무가 새로 선출된 교육감 어깨 위에 놓여 있다”며 “이런 시대적 요구에 지혜로운 답을 제시하는 것이 우리의 공통 과제”라고 말문을 열었다. 김석준 부산교육감은 시의회 참석차 불참했다.
이후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에서 조 교육감은 ‘자사고 폐지’를 골자로 하는 일반고 살리기와 전교조 전임자 복귀 등을 협의 안건으로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사고 폐지’는 진보교육감들의 공통된 공약이었기 때문에 상당수 교육감이 이에 공감하고 일반고 살리기 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교육부는 전교조 전임자 복귀마감 시한인 21일을 넘긴 미복귀자 32명을 직권면직하라고 시·도교육청에 권고한 바 있다.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법적 대응하겠다며 강경한 입장까지 밝힌 상태다. 그러나 교육감들은 교육부가 예고한 직권면직 시한인 다음 달 4일보다는 ‘시간을 두고 지켜보자’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협의회장에는 진보 성향의 장휘국(사진) 광주교육감이 선출됐다. 장 교육감은 재선 교육감 중 가장 연장자로 전교조 출신이다. 진보교육감이 보수교육감을 13대 4로 압도하는 상황인 데다 다른 전교조 출신 교육감 7명의 지지를 받는다는 점에서 장 교육감의 회장 선출은 일찌감치 예상됐다. 부회장에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김복만 울산교육감이, 감사에는 설동호 대전교육감이 선출됐다. 이들은 임기 전반기인 2년 동안 회장단으로 활동하게 된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진보가 주도한 첫 교육감회의 “전교조 미복귀자 중징계 곤란”
입력 2014-07-24 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