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준비 재점검 필요하다

입력 2014-07-23 02:30
김진선 2018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의 사퇴를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2011년 조직위 탄생 때부터 조직을 이끌어온 데다 지난해 10월 연임돼 임기를 1년 이상 남겨놓은 상태에서 물러나야 할 만큼 드러난 과오가 없었기 때문이다. 조직위가 감사원 특별조사국의 감사를 받았고, 핵심 측근인 문동후 전 조직위 부위원장이 물러나면서 사퇴설이 나돌기도 했으나 조직위 비리가 드러난 것은 아직 없다. 권력 핵심과의 갈등설, 외압설 등 의견이 분분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가 21일 배포한 2쪽 분량의 사퇴의 변은 의혹을 더 키웠다. 그는 “이 엄중한 시기에 무언가 새로운 리더십과 보강된 시스템에 의해 조직위원회가 앞으로의 과제에 대처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해 왔다. 이것이 위원장직에서 물러나는 이유”라고 밝혔다. 알맹이가 없는 사퇴의 변이다.

평창올림픽 산파 역할을 해온 김 전 위원장의 사퇴로 올림픽 준비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2018년 2월 9일 개최되는 평창올림픽까지 남은 기간은 3년6개월로, 경기장 건설에 필요한 공기와 완공된 경기장에서의 리허설 등을 감안하면 그리 길지 않다. 최근 구닐라 린드버그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조정위원장의 “대회까지 더 이상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는 지적을 허투루 들을 일이 아니다.

후임 위원장의 역할이 중요하다. 흐트러진 조직을 추스르고 다수의 글로벌 기업을 평창올림픽 스폰서로 유치할 수 있는 리더십과 능력을 갖춘 인물이면 금상첨화다. 평창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유력한 후임자로 거론되던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기업에 전념하겠다”며 고사한 마당이다. 만에 하나라도 ‘수첩인사’할 생각은 버리고 각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후임 위원장을 인선해야 한다.

지금처럼 조직위와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가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지 못하고 밥그릇 싸움이나 하면서 다른 소리를 낸다면 평창올림픽 성공은 기대하기 어렵다. 준비 부족으로 세계의 조롱거리가 됐던 브라질월드컵이 반면교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