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이전 새 천년을 연다] 도청 이전 시기 왜 늦췄나… 정주여건·기반시설 미흡 투 트랙 이전 택해

입력 2014-07-25 02:56
경북도는 도청 직원들의 장기간·장거리 출퇴근으로 인한 비용과 안전사고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전 시기를 내년 7월로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전할 신도시 조감도.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지난달 26일 ‘도청이전 시기’를 2015년 7월로 확정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한시적인 기구인 새출발위원회는 도청 이전 시기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정주여건과 기반시설, 도민들이 행정민원 업무를 보는 데 불편이 없는 시설 확보, 도청 후적지(後適地) 개발, 조기 이전에 따른 기회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위원회 검토결과 진입도로 개설사업의 경우 현재 안동방면 공정률이 50%, 예천방면은 5%로 2015년 4월과 2016년 6월쯤 완공이 가능해 연말까지 도청에 접근하는 도로가 구축되지 못하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또 1단계 구역 내 설치될 6곳의 학교시설 중 유치원과 초·중학교 각 1개교는 2015년 9월에 개교하고 고등학교 1곳은 2016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하고 있어 연말 이전 시 자녀를 학교에 보낼 수 없는 상황이다.

주요 거주시설인 공무원 임대아파트 644가구는 2015년 12월쯤 준공되고 민간분양아파트 1287가구 역시 2015년 11월에서 2016년 3월 사이 준공 예정이므로 올 연말까지는 공무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주택도 전혀 없는 상황이다.

기반시설 중 가장 중요한 하수처리시설의 경우 현재 공정률이 47%로 6개월간의 시운전을 거쳐 2015년 6월에 준공 예정이다. 하수처리시설이 준공되지 않으면 건물사용 허가를 받을 수 없게 돼 2015년 6월까지는 물리적으로 이전이 불가능하다.

예정됐던 올 연말까지는 기반시설과 정주여건 조성이 상당 부분 미흡할 것으로 여겨지고 무리해서 이전을 강행할 경우 도민에 대한 질 높은 행정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위원회는 대다수 도청직원들의 장기간·장거리 출퇴근 등으로 인한 비용과 안전사고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전 시기를 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본청 및 의회청사가 오는 10월 말 준공되는 점을 고려해 ‘투 트랙(Two-Track)’ 방식의 도청 이전 방법을 제안했다.

우선 도청이전추진본부 등 청사관리 운영 부서 50여명이 오는 11월 1단계로 이전한다. 이들은 신 청사 완공 및 시운전, 신도시 상·하수도, 진입도로 등 기반시설과 학교, 주택, 병의원, 상가 등 정주여건을 조성한다. 나머지 부서는 2단계로 2015년 7월에 이전을 시작해 2∼3개월 안에 이전을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위원회는 도청 이전과 함께 북부권 발전과 도청 신도시의 자족기능 강화를 위해 3개 분야 선도사업을 제안했다.

우선 한반도 위도 36도 경제권의 대동맥이 될 동서5축(울진∼도청신도시∼세종∼보령) 고속도로와 수도권과 바로 연결되는 중부내륙 KTX의 조속한 착공을 제안했다. 북부권 산업발전과 인구증가에 획기적인 모티브가 될 북부권 미래생명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함께 북부지역 주민들의 하늘길을 열고 인천공항, 남부권 신 공항과 신 항공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천공항 재개항도 강도 높게 제안했다.

김관용 지사가 3선 도지사로서의 경륜을 살려 강원, 충청권과 ‘광역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경북을 수도권과 남부권에 대등하게 맞서는 ‘대한민국 황금허리 경제권’의 중심으로 만들어 갈 것도 제안했다.

하춘수 새출발위원장은 “도청 이전 시기조정은 기반시설 및 정주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위원들의 심사숙고 끝에 어렵게 결정했다”며 “도민들의 박수 속에 ‘신 도청시대’를 개막할 수 있도록 도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