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지몰린 푸틴, 대응 카드 관심

입력 2014-07-22 02:43
말레이시아항공 MH17 여객기 격추 사건 이후 글로벌 외교가에서 점점 더 고립되고 있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번 사건에 어떻게 대응하고 나설지 관심이 쏠린다. 외신들은 대부분 푸틴이 여객기 사고 수습 지원에는 적극 나서겠지만, 여객기를 격추한 것으로 의심되는 우크라이나 친러시아 반군과의 연관성은 결코 인정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반영하듯 푸틴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크렘린궁 사이트를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누구도 이번 참사를 사리사욕을 위한 정치적 목적이나 이간질에 이용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푸틴은 희생자가 있는 각국 정상들과의 전화통화 등을 통해선 시신 수습과 블랙박스 회수를 적극 돕겠다고 약속했다.

푸틴은 전날 마르크 뤼테 네덜란드 총리와의 전화통화에서 “사고 현장의 자유로운 출입과 시신을 실은 열차와 블랙박스 등을 넘기는 문제에 모든 협조를 다하겠다”고 밝혔다고 네덜란드 공보처가 전했다. 토니 애벗 호주 총리도 푸틴과 통화한 사실을 공개하며 “푸틴 대통령이 전화상으로는 듣기 좋은 말들만 했다”며 “자신이 말한 것을 꼭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푸틴이 밝힌 대로 국제사고조사단이나 시신수습팀의 현지 활동은 러시아도 적극 도울 가능성이 있다. 또 ‘범인’이 드러나지는 않는 만큼 여객기 블랙박스를 국제사회에 넘기는 것도 피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여객기를 누가 격추시켰고, 미사일 제공국이 어디냐를 따지는 문제에 있어선 푸틴도 양보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조사결과에 따라 러시아까지 테러 지원국 또는 테러 당사국이란 오명을 뒤집어쓸 수 있어서다.

AFP통신도 러시아가 자국이나 우크라이나 반군과 이번 사건을 연관시키는 결론에는 절대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전했다.

파리에서 활동하는 러시아의 저명 경제학자 세르게이 구리예프는 “증거가 나와도 러시아는 계속 책임을 부인할 것”이라며 “특히 간접증거밖에 없을 때는 더욱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푸틴도 담화에서 “우리는 모든 분쟁 당사자들에게 유혈 사태를 중단하고 협상 테이블에 앉을 것을 여러 차례 호소해왔다”면서 “만일 지난달 28일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에서 전투가 재개되지 않았으면 이번 참사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참사의 책임이 진압작전을 계속한 우크라이나 정부 측에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푸틴은 “우크라이나 분쟁이 현재의 교전 국면에서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협상 국면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외교적 해결 가능성도 내비쳤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