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교육감, 기독 사학 설립취지 훼손 우려”

입력 2014-07-21 02:03
“대거 등장한 진보성향의 교육감들은 경쟁을 촉구하는 입시위주 교육을 완화하면서 기독교학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겠지만 동시에 종교 중립을 주창하며 기독사립학교의 설립취지를 훼손시킬 수 있다.”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기교연)가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한국교회100주년기념관에서 ‘새로운 교육감의 교육정책과 기독교학교교육’을 주제로 개최한 2014년 정책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이같이 입을 모았다.

‘기독교학교교육의 관점에서 본 새 교육감들의 교육정책’에 대해 발제한 기교연 이종철 연구실장은 “6·4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진보성향의 시·도교육감 13명의 정책은 ‘고교 평준화와 경쟁교육 완화’ ‘혁신학교 확대’ ‘무상교육 확대’ ‘학생인권조례 강화’ ‘사학 비리 해결’ 등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독교학교는 입시경쟁 완화 정책을 적극 환영한다”며 “입시 위주 교육이 강화되면 학부모와 학교는 입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교과목에 초점을 맞춰 기독교 교과는 설 자리를 잃어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학생인권조례 강화 정책에 대해서는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진보 교육감들이 종교 중립의 논리를 내세워 종교 관련 조항들을 과도하게 적용하면 종교계 사립학교의 설립 취지를 무너뜨릴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 실장은 “종교 중립을 요구하는 이들은 ‘신앙은 개인적인 것으로 학교라는 공적 영역에서 종교성은 사라져야 한다’고 주장한다”면서 “그러나 삶과 종교를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종교계 사립학교에서 ‘종교성’을 삭제하는 것은 곧 ‘무종교로서의 종교’를 가르치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대광고 김철경 교장은 서울시교육청의 자율형사립고(자사고) 폐지 움직임을 비판했다. 김 교장은 “사학은 당연히 건학이념을 스스로 구현해야 하고, 이를 위한 객관적 여건도 갖춰져야 한다”며 “현재 교육체제에서 기독교학교의 건학이념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사고가 가장 적합한 형태”라고 주장했다. 자사고는 교육과정과 교원인사, 학생선발 등 학사 운영의 자율성을 보장받고 있다.

김 교장은 “학생의 종교적 인권을 존중하는 방안으로 원치 않는 학생은 종교계 학교에 배정하지 말고, 이미 배정을 받았지만 종교적 이유로 학교를 옮기고 싶다면 전학을 시키는 제도를 도입하면 된다”고 해결책을 제시했다.

기교연 소장 박상진(장신대 기독교교육) 교수는 “진보 교육감 시대에 한국교회는 특정 진영의 논리에 빠져서 갈등의 한 축을 형성하지 말고 사안별로 기독교적 비판을 통해 건강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