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18일 전날 체육 실무접촉 결렬 책임을 서로에게 전가하며 장외 공방전을 벌였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실무접촉이 결렬된 것은 응원단 규모와 체류비용 등에 대한 남측의 부당한 태도 때문”이라며 “이러한 태도를 바꾸지 않으면 대회 참가를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남측이 ‘국제관례’니, ‘대표단 규모가 너무 크다’느니 하고 트집을 걸었다”며 “‘남쪽 정서’니, ‘신변안전 보장이 어렵다’느니 하면서 응원단 규모와 국기의 규격까지 걸고 들다 못해 공화국기(인공기)는 물론 한반도기도 큰 것은 안 된다고 도전해 나섰다”고 비난했다. 또 “우리가 일언반구도 하지 않은 우리 선수단과 응원단의 비용 문제를 꺼내 들며 자부담이니 뭐니 하고 떠들어대는 추태를 부렸다”고 덧붙였다.
특히 북한은 남측이 오전 회의 때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다가 청와대의 지시를 받고 오후 회의에서 태도를 갑자기 바꿨다고 주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남측은 지령(지시)을 받느라고 오후 2시로 예견된 오후 회담을 2시간15분이나 지연시켰으며 뒤늦게 회담에 나와서는 오전에 저들이 한 말을 모두 뒤집었다”고 힐난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청와대 지령 운운하며 억지 주장을 하고 있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 측이 북한 선수단과 응원단 규모에 이의를 제기한 적이 없다”며 “편의보장 문제는 국제관례에 따라 선수단과 응원단 파견 시 자부담 원칙 정도를 언급했으며, 응원단 안전을 고려했을 때 대형 인공기 사용은 자제하는 게 좋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정부는 편의보장 등 경비 문제는 남북이 추가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인천아시안게임 최종 참가선수명단 제출은 다음 달 15일까지여서 조만간 실무접촉이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한은 지난 15일 개성공단을 오가는 우리 측 인원의 출입질서 위반 시 당일 출입을 불허하겠다고 일방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북측은 휴대전화 반입 100달러, 출입시간 미준수 50달러 등 출입질서 위반이 적발될 경우 벌금을 부과해 왔다. 징계 수위가 훨씬 높아진 것이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
체육 실무접촉 결렬 남북한 ‘네탓 공방전’
입력 2014-07-19 0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