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이 받고 있는 월평균 노후 연금이 15만원으로 남성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는 17일 국민연금연구원의 제4차 노후보장패널 조사를 기초로 ‘한국의 성별 연금격차 현황’을 분석해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인구 중 남성의 연금소득은 월평균 36만4000원인 반면 여성은 15만원으로 남성의 41.3% 수준에 그쳤다. 여성의 월평균 연금액은 1인 가구 월 최저생계비(60만3403원)와 비교해도 4분의 1에도 못 미쳐 매우 취약했다.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7명(75.6%)은 연금을 받고 있지만, 기초노령연금 의존도가 높아 연금액은 작은 것으로 분석됐다. 남성의 경우 10명 중 3명 이상(34.9%), 여성은 5명 이상(53.5%)이 다른 공적·사적연금 없이 기초노령연금만 받고 있다. 민간보험인 사적연금을 받는 이는 1000명 중 1명(0.1%) 수준이다.
반면 유럽연합(EU) 회원국은 65세 이상 인구의 월평균 연금이 남성 199만원, 여성 121만원으로 절대금액에서 우리나라와 큰 차이를 보였다. 여성 연금 수준도 남성의 61%에 달해 성별 격차도 눈에 띄게 작았다. 한국의 경제 수준(1인당 GDP) 대비 연간 연금소득 비율도 EU 국가에 한참 처졌다. EU 회원국(27개)은 1인당 GDP 대비 연간 연금소득 비율이 남성 75%, 여성 45% 수준이었지만 한국은 17%, 7%에 불과했다. 연구소는 “노후소득 확대와 성별 연금격차 해소를 위해 공적 연금제도 내에서 여성의 수급권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사적 연금의 활성화도 필요한 요소”라고 밝혔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女노인 연금소득 月15만원… 남성 절반도 안돼
입력 2014-07-18 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