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 최양희 장관은 16일 취임식에서 “틀을 깨는 과감한 시도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근혜정부 출범 초기만 해도 ‘창조경제’를 견인할 핵심부서로 주목받았던 미래부가 지난 1년 동안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것에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는 “‘몸은 곧은데 그림자가 굽을 리 없다’라는 말이 있다”면서 “최선을 다 해도 국민의 눈에 비친 성적표가 미흡하다면 더 분발해야 한다”고 직원들을 독려했다.
최 장관은 “융합의 핵심은 소프트웨어”라며 “교육·산업·문화를 포괄하는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 구축을 전 국가적 어젠다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미래부가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에 소홀히 했다는 지적이 많았던 만큼 정책적 무게 중심을 소프트웨어 쪽으로 옮겨놓겠다는 의지를 내보인 것이다.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인터넷 기반 신산업을 육성하고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혁신해 기업과 상생하는 산학연 협력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단호한 다짐으로 출사표를 던졌지만 최 장관이 풀어야 할 과제는 녹록지 않다. 가장 큰 숙제는 창조경제의 가시적인 성과를 내는 것이다. 창조경제 성과는 최 장관의 리더십과 직결될 수 있는 문제라는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래부가 추진하는 창조경제 과제는 대부분 다른 부처와 협력이 필요한 것들이다. 때문에 미래부가 창조경제 주무부서로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해야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 그동안 성과가 미미했던 것도 미래부가 존재감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해 부처 간 협업이 원만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학계와 미래부 산하기관에 몸담았던 최 장관이 정치력을 발휘해 ‘부처 간 칸막이’를 얼마나 걷어낼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최 장관과 비슷한 길을 걸어 온 최문기 전 장관도 부처 간 칸막이를 제거하는 게 쉽지 않았다고 털어놨었다.
이해관계가 얽힌 휴대전화 보조금 문제도 최 장관에겐 큰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10월부터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이 시행되면 이를 전후로 시장이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제조사와 이통사가 새 제도 시행 전에 다시 보조금 경쟁을 벌일 수 있고, 새로운 제도의 맹점을 찾아내 악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업무협조를 통해 시장 과열을 막고 단통법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도록 하는 건 최 장관에게 주어진 첫 번째 과제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리더십 시험대 오른 ‘최양희’
입력 2014-07-17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