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직 사퇴 관철 못해 민망 국가혁신 매진 책임 다할 것” 정홍원 총리, 예결특위 참석

입력 2014-07-17 02:31
정홍원 국무총리는 16일 국회에서 “책임지고 사퇴의사를 표명한 사람이 끝까지 사퇴를 관철시키지 못했다는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위 결산심사에 앞서 모두발언을 통해 “제 거취 문제로 의원들에게 심려를 끼쳐드려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세월호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하고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자 했으나 후임 총리 임명 실패에 따른 국정공백 우려로 다시 총리직을 수행하게 됐다”며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민망스러운 마음 금할 길 없다”고도 했다.

그는 “그간 사고현장에서 느낀 그대로 국가혁신에 매진해 책임의 일단을 다 하고자 한다”면서 “널리 이해하고 도와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의원들이 사표가 사실상 수리돼 유임의 근거가 없다고 주장하자 “(사표)수리가 확실히 있었다면 퇴임하고 나가야 하지만, 그게 없었다면 법리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답했다.

정 총리는 “저도 많은 고사를 했지만, 지금 많은 사람들이 고사해 더 이상 사람을 찾으면 국정 공백이 커진다는 (대통령의) 말이 있어서 그것을 팽개치고 나간다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다시 한번 “여러모로 이해해 달라”고 당부했다.

2기 내각 일부 후보자 낙마와 청와대·정부의 검증실패 논란에 대해선 “충분히 검증하지 못한 점에 대해 죄송하게 생각한다. 근래에 박근혜 대통령과 대화할 기회를 가졌는데, 인재를 충분히 발굴하고 검증할 부분은 검증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정 총리는 이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취임 축하 인사차 당 대표실로 찾아가 회동했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정부와 여당이) 자주 만나서 어떤 현안이 발생하면 시간 끌지 말고 빨리하자고 했다”며 “고위 당·정·청 회의를 수시로 열어 현안을 다룰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김 대표에게 “당정 관계에서 새로운 발전을 이루자. 세월호특별법 처리 문제도 빠른 방법으로 안을 만들자”고 덧붙였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