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야권연대 또 들먹이는 새정치연합 배알도 없나

입력 2014-07-17 02:30
7·30 재보선의 공식 선거운동이 17일 시작된다. 전국 15개 선거구에 출마한 55명 후보들이 13일간의 총력전을 개시하는 시점에 새정치민주연합과 정의당 간에 야권연대 문제가 공론화돼 유권자들을 어리둥절하게 한다. 선거에서 당헌·당규가 비슷한 정파, 정견이 유사한 정치인끼리 힘을 합치는 것을 무조건 탓할 일은 아니다. 하지만 두 당의 당헌·당규는 대북정책 등 이념 측면에서 크게 다르다. 그런데도 선거 유세조차 해보지 않고 연대부터 거론하는 것은 정치적 야합에 다름 아니다.

정의당은 후보 등록도 하기 전인 지난 9일 대놓고 야권연대 협의를 제안했다. 군소 정당이 서울 동작을 등 6곳이나 공천한 걸 보면 새정치연합으로부터 한두 곳을 양보 받으려는 속셈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정의당이 이번 선거에서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것을 이해 못 하는 바 아니나 결코 정도가 아니다. 당의 이름과도 어울리지 않는 꼼수다.

안철수·김한길 대표 등 새정치연합 지도부는 여론을 살피는 것 같다. 2012년 4월 총선과 6·4지방선거에서 야권이 연대했지만 역풍이 거세 별 효과를 보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새정치연합 안에서 친노와 486 등 진보그룹이 연대에 적극적인 것은 놀랍다. 입만 열면 정의와 명분을 앞세우는 사람들이 정치공학적 계산에 몰두하고 있으니 실망스럽다. 수원 병(팔달)에 출마한 손학규 상임고문도 연대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대권 후보군에 속하는 그가 연대를 곱게 보지 않는 여론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

새정치연합이 이번 선거에서 이기려면 무능함을 드러낸 박근혜정권의 대안세력임을 유권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시켜줘야 한다. 수도권에선 근소한 차이로 승패가 갈리기 때문에 야권연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일리는 있지만 야권 표에 머물지 말고 중도 성향으로 지지 영역을 확장하는 적극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안 대표를 앞세워 합리적 중도보수 세력을 끌어안겠다는 합당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라도 정의당과의 연대는 일찌감치 단념하는 게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