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는 연중기획 ‘한국교회, 위기를 넘어 희망으로’의 제2부 ‘교황 방한과 한국교회’ 시리즈 보도를 위해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주요 목회자와 신학대 교수 등 20여명을 대상으로 3개항에 대해 전화 또는 이메일 등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들은 가톨릭에 대한 신학적 입장 등에서는 소속 교단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교황 방한을 한국 개신교회의 자성과 갱신의 계기로 삼자는 점, 가톨릭과 개신교의 차이점을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다수가 공감을 표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8개 신학대학 교수들이 보내온 답변을 요약해서 소개한다.
◇설문 문항
①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이 한국교회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② 한국교회는 가톨릭에 대해 어떤 입장과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③ 프란치스코 교황 개인의 리더십에서 한국교회가 참고하거나 교훈으로 삼을 점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있다면 무엇입니까?
①세계가 프란치스코 교황을 주목하고 그의 행보를 따라하고 있다. 이를 ‘프란치스코 효과’라 부르기도 한다. 반면 한국 개신교회는 사회의 지탄을 받고 있다. 최근 교계 지도층 인사들의 망언은 개신교회를 더욱 추락하게 만들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은 여기에 속도를 더할 것이다.
②지난날 가톨릭은 권위적·제왕적 성격을 갖고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교회 개혁을 외치며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말씀으로 돌아가 하나님 나라를 온전히 전파하며 정의와 평화, 공동선을 지향하고 있다. 반면 한국 개신교는 여전히 교리 논쟁에 빠져 가톨릭을 이단시하고 있다. 교황 방한을 계기로 한국 개신교가 새롭게 변화되기 바란다. 한국 개신교는 교황의 방한을 적극 환영하고, 공식적으로 가톨릭이 주 안에서 한 형제요, 한 몸임을 고백해야 한다.
③프란치스코 교황의 리더십은 ‘십자가 사랑’이다. 이는 나를 죽이고 내 안에 예수를 모시는 사랑이다. 나를 내려놓지 못하면 예수의 삶을 살아내기 어렵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기꺼이 자기를 내려놓고 하나님이 지워주신 십자가를 짊어지고 세상을 향해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한신대 연규홍 신대원장
[국내 신학대 교수들, 교황 방한 어떻게 보나] 가톨릭과 개신교는 주 안에서 한 형제
입력 2014-07-17 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