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는 연중기획 ‘한국교회, 위기를 넘어 희망으로’의 제2부 ‘교황 방한과 한국교회’ 시리즈 보도를 위해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주요 목회자와 신학대 교수 등 20여명을 대상으로 3개항에 대해 전화 또는 이메일 등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들은 가톨릭에 대한 신학적 입장 등에서는 소속 교단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교황 방한을 한국 개신교회의 자성과 갱신의 계기로 삼자는 점, 가톨릭과 개신교의 차이점을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다수가 공감을 표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8개 신학대학 교수들이 보내온 답변을 요약해서 소개한다.
◇설문 문항
①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이 한국교회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② 한국교회는 가톨릭에 대해 어떤 입장과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③ 프란치스코 교황 개인의 리더십에서 한국교회가 참고하거나 교훈으로 삼을 점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있다면 무엇입니까?
①취임 이후 프란치스코 교황의 긍정적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최초의 비유럽권 교황이라는 것 자체가 파격이었는데, 개혁가적 면모까지 보여주면서 권위적 요소를 과감히 벗겨내고 있다. 다음 달 방한에서도 그런 점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이는 가톨릭교회의 성장을 더욱 가속화하는 결과로 나타날 것이다. 정부도 교황을 국빈으로 맞이하기 때문에 그 효과는 더욱 증대될 것이다.
②한국 개신교회는 가톨릭교회의 성장을 현실로 받아들이면서 무엇이 가톨릭교회의 부흥을 가져왔는지 겸허하게 검토해야 한다.
③교황은 취임 초기부터 개혁가적 자세로 권위를 벗어던지는 파격적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그런 점이 세계로부터 긍정적 반응과 주목을 받게 하고 있다. 교황은 이번 방한 기간 더 많은 주목을 받게 될 것이다. 한국 개신교회도 이번 기회에 권위적 면모를 일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서울신대 권혁승 신대원장
[국내 신학대 교수들, 교황 방한 어떻게 보나] 가톨릭 부흥 원인 겸허히 검토해야
입력 2014-07-17 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