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는 연중기획 ‘한국교회, 위기를 넘어 희망으로’의 제2부 ‘교황 방한과 한국교회’ 시리즈 보도를 위해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주요 목회자와 신학대 교수 등 20여명을 대상으로 3개항에 대해 전화 또는 이메일 등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들은 가톨릭에 대한 신학적 입장 등에서는 소속 교단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교황 방한을 한국 개신교회의 자성과 갱신의 계기로 삼자는 점, 가톨릭과 개신교의 차이점을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다수가 공감을 표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8개 신학대학 교수들이 보내온 답변을 요약해서 소개한다.
◇설문 문항
①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이 한국교회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② 한국교회는 가톨릭에 대해 어떤 입장과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③ 프란치스코 교황 개인의 리더십에서 한국교회가 참고하거나 교훈으로 삼을 점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있다면 무엇입니까?
①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은 한국 개신교회에 긍정과 부정, 양면의 영향을 줄 것이다. 긍정적 면에서는 기독교의 복음적·사회적 사명을 고취하는 데 영향을 줄 것이다. 부정적 면에서는 개신교에서 가톨릭으로 관심이 옮겨가고 성도들이 이동하는 추세에 영향을 더 줄 수 있다고 본다.
②한국 개신교회는 가톨릭교회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의 교회라는 의식을 더욱 진작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교리와 실천의 차이 등에 대해 서로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존중하는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③프란치스코 교황의 리더십에 대해 한국 개신교회는 영적·도덕적 기준에 따라 분별하고 본받을 수 있는 것은 본받아야 한다. 신학적 입장에서 교황직 내지는 가톨릭 교리에 대한 비판적 관점은 신중히 고려될 수 있다.
감신대 이후정 신대원장
[국내 신학대 교수들, 교황 방한 어떻게 보나] 기독교 복음적·사회적 사명 고취시킬 것
입력 2014-07-17 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