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는 연중기획 ‘한국교회, 위기를 넘어 희망으로’의 제2부 ‘교황 방한과 한국교회’ 시리즈 보도를 위해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주요 목회자와 신학대 교수 등 20여명을 대상으로 3개항에 대해 전화 또는 이메일 등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들은 가톨릭에 대한 신학적 입장 등에서는 소속 교단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교황 방한을 한국 개신교회의 자성과 갱신의 계기로 삼자는 점, 가톨릭과 개신교의 차이점을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다수가 공감을 표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8개 신학대학 교수들이 보내온 답변을 요약해서 소개한다.
◇설문 문항
①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이 한국교회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② 한국교회는 가톨릭에 대해 어떤 입장과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③ 프란치스코 교황 개인의 리더십에서 한국교회가 참고하거나 교훈으로 삼을 점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있다면 무엇입니까?
①사람들은 종교현상에 대해 비판적이면서도 영적 갈구에 대한 본성을 갖고 있다. 교황 방한으로 우리 사회의 반종교적, 반기독교적 분위기는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개신교가 그 혜택을 받을 가능성은 적다. 사람들은 개신교와 가톨릭을 명확히 구별한다. 가톨릭에 대한 이미지는 좋아질 가능성이 크지만 개신교는 영향을 받지 못할 것이다.
②개신교에는 가톨릭에 대해 잘 모르는 상태에서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교황 방한을 계기로 종교개혁 이전 가톨릭의 모습, 현재 가톨릭의 교리 등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신학적 차이가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단 시비가 나올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가톨릭을 하나님 나라의 지체로서 몸의 하나라고는 생각할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를 고백하고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는다는 전제 하에 형제교회라고도 할 수 있다.
③현재 한국사회는 정치와 종교계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리더십 부재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세월호 참사를 거치면서 영적 리더십에 대한 갈구가 심한 상태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문이 영적 리더십 공백을 채울 가능성이 있다.
장신대 임성빈 신대원장
[국내 신학대 교수들, 교황 방한 어떻게 보나] 영적 리더십 공백 교황이 채울 가능성
입력 2014-07-17 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