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구상 더 밀려선 안된다”… 朴의 강공

입력 2014-07-16 03:31
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 강행이냐, 지명 철회냐를 놓고 고민하던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결국 강공(强攻)을 선택했다. 자질 논란을 빚었던 후보자 중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만 지명을 철회하되 나머지 2명의 임명 강행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이는 자신의 국정 구상이 더 이상 흔들려선 안 된다는 판단의 결과물이지만 야당이 즉각 반발하는 만큼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박 대통령, 2명 철회는 더 큰 부담 판단한 듯=박 대통령이 지명 철회를 최소화한 것은 새로운 장관 후보자 7명 중 2명을 다시 교체할 경우 더 큰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미 총리 후보자 연쇄 낙마를 겪은 상황에서 2명이 또 추가 하차하면 향후 국정 주도권 역시 야권에 내주는 것이라고 봤다는 의미다. 집권여당의 김무성 대표 체제 출범에 맞춰 내각도 하루빨리 정상화해야 한다는 의지가 담긴 것이다. 2기 내각 출범일인 16일은 세월호 참사 3개월을 맞는 날이다.

청와대 내부에선 정성근 문화체육부 장관 후보자의 적정성 여부에 대해선 기류가 갈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문회 위증, 폭탄주 논란 등이 불거졌지만 논란이 필요 이상으로 증폭됐다는 시각도 있었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성근 후보자에 대해 어려울 것이라는 분위기도 있었지만 반대 기류도 분명히 있었다”고 말했다. 대통령의 인사권이 존중돼야 하고, 특히 정치공세적 성격이 짙은 야당의 철회 주장을 모두 수용할 수는 없다는 논리도 작용했다. 그 결과 이미 ‘재기불능’ 상태에 빠진 김명수 후보자는 철회하되 나머지 2명은 임명 쪽으로 기울었다. 특히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의 경우 야권의 발목잡기 아니냐는 불만도 청와대 내부에서 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역시 박 대통령의 선택이 국정운영 정상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임을 강조하고 있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여·야·청의 대화로 물꼬를 튼 소통과 협력의 정신에 걸맞은 야당의 대승적 결단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야당이 계속 반발할 경우 정국 경색 역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취임 이후 첫 여야 원내지도부 회동으로 기대를 모았던 ‘소통 복원’ 역시 당분간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있다.

◇황우여 카드로 2기 내각 친정체제 더욱 공고화=박 대통령이 고심 속에서 선택한 카드는 역시 익숙한 ‘친박(친박근혜) 중진 카드’였다. 황우여 새누리당 의원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낙점함으로써 2기 내각에서 국정 장악력을 더욱 높이겠다는 포석이다.

황 후보자는 2기 내각의 경제팀 수장인 최경환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와 함께 박근혜정부 2기 내각의 쌍두마차 체제를 이룰 전망이다. 새누리당의 원내대표, 대표를 지낸 황 후보자와 원내대표를 역임한 최 후보자가 ‘투톱’을 이루면서 내각을 이끌게 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여야를 모두 아우르는 중량감 있는 정치인을 경제·사회부총리로 두고 이들을 내세워 향후 국정 운영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구상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3개월간 무기력했던 내각과 공전했던 국정과제를 되돌리기 위해선 정치력 있는 내각이 무엇보다 필요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여기에 내각의 인적 쇄신 작업이 또다시 길어지고, 새 인물을 찾는 데 시간이 더 걸리는 만큼 황 후보자만한 적임자를 찾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