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비핵화 준수위해 미·중 소통강화 필요”

입력 2014-07-16 03:37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 핵 문제에 대한 공조를 논의했다.

백악관은 14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오바마 대통령이 시 주석과의 통화에서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지키게 하기 위해 중국과 소통을 강화하고 행동을 조정할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중국 외교부도 브라질을 방문 중인 시 주석이 현지에서 오바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한 사실을 홈페이지를 통해 15일 발표했다.

두 정상 간 통화는 지난 9∼10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양국의 제6차 전략경제대화 이후 이뤄진 것이다. 당시 양국은 환율, 사이버 해킹, 동·남중국해 영유권 문제 등에서 첨예한 의견 차이를 드러냈다.

백악관은 그러나 “두 정상의 통화에서는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며 “오바마 대통령이 양국 간의 차이를 건설적으로 풀 자세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또 오바마 대통령이 11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과 만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시 주석도 “최근 전략경제대화는 양국 관계에 새 동력을 불어넣었다”고 평가하면서 “상호 존중과 건설적 방식을 통해 양국 간 갈등과 이견을 잘 처리함으로써 긍정적인 발전을 보장해 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은 중국과 함께 신(新)대국관계 구축, 실질적 협력 강화, 갈등의 건설적인 통제 관리 등을 통해 협력이 양국 관계의 주류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급부상(浮上)에 이어 팔레스타인과 이라크, 우크라이나, 남중국해 등 전 세계에서 나타나는 ‘안보 위기’는 미국의 약화된 국제적 파워를 반영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또 최근 각지에서 동시에 분출되는 분쟁들로 오바마 대통령의 외교정책이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고도 했다. 특히 이런 갈등은 1970년대 말 이후 가장 광범위하다고 지적했다.

WSJ는 오바마 대통령이 군사력보다는 미국의 리더십을 앞세우는 외교 원칙을 고수하고 있지만 분쟁 확산은 오바마 외교정책에 대한 논쟁에 불을 지피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 워싱턴의 비평가들과 외국 외교관들은 오바마 대통령의 정책이 작금의 분쟁들을 초래했다고 믿고 있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을 뺀 결정, 시리아 내전 종식을 위한 적극적인 역할 거부 등이 중국 이란 러시아 등의 공격적인 외교정책을 불러일으켰다는 것이다.

공화당의 밥 코커 상원의원도 지난주 우크라이나 사태 청문회에서 “미국은 종이호랑이처럼 행동함으로써 앞으로 믿기 어려울 정도의 타격을 장기간 받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