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4대강 유역에서 잇따라 발견되고 있는 ‘큰빗이끼벌레’(사진)의 분포 실태와 유해성 여부를 조사한다. 최근 4대강 수질오염 때문에 외래종인 큰빗이끼벌레가 대량 번식하고 있다는 논란에 따른 조치다.
환경부는 15일 국립환경과학원·4대강유역환경청·4대강물환경연구소·외부 전문가 등으로 조사단을 구성해 이달부터 11월까지 4대강 본류 전역에서 분포 실태를 조사한다고 밝혔다. 국내분포 실태와 유해성 여부, 성장부터 사멸까지 동태, 해외 피해사례 등이 조사 범위다. 큰빗이끼벌레가 대량 번식하기 위한 수온과 수질, 플랑크톤 등에 대한 연구도 병행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독성과 유해성에 관한 논란의 불필요한 증폭을 막고 불안감을 해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수면에 노출된 큰빗이끼벌레는 제거하기로 했다. 수중까지 제거하는 것은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전문가 의견에 따른 것이다. 다만 수중 암모니아 농도 상승 등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 수중에 있는 큰빗이끼벌레도 제거하기로 했다.
큰빗이끼벌레는 물속에 사는 무척추동물이면서 태형동물의 한 종류다. 1㎜ 정도 크기의 개체들이 젤라틴질 물질을 분비하면서 군체(群體)를 형성한다. 개체는 빗 모양이다. 물속의 바위나 수초, 나뭇가지, 그물망 등에 달라붙어 세균과 조류, 동물 플랑크톤을 먹이로 삼아 서식한다. 유해성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취수관을 막는 사례는 보고 되고 있다.
조사단에는 환경단체가 포함돼 있지 않아 조사결과 발표 이후에도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환경단체들은 큰빗이끼벌레와 녹조가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수질악화의 증거라고 주장하면서 공동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4대강 큰빗이끼벌레 실태·유해성 여부 조사
입력 2014-07-16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