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진보 교육감들의 정책 비판하고 대안 제시해야

입력 2014-07-16 03:54
박경양 평화교회 목사(왼쪽 세번째)가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새로운 교육감 시대, 한국교육의 과제와 교회의 역할’ 심포지엄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NCCK 제공

진보 성향의 교육감이 대거 등장한 현실을 직시하고 이들의 이념과 사회 현실 사이에 놓여 있는 간극을 줄이는데 교회가 노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새로운 교육감 시대, 한국교육의 과제와 교회의 역할’이라는 심포지엄을 열었다. 참석자들은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진보 교육감의 정책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성천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은 교회의 역할을 찾기 전에 13개 시·도에서 진보 교육감이 당선된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육 경쟁은 심해지고 있지만 졸업 이후의 삶은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며 “희망보다 절망이 앞서는 교육 현실에 대한 고민이 진보 교육감 선택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위원은 진보 교육감이 있는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가 이견을 보일 가능성이 커 교회 등 지역사회가 윤활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진보 교육감은 혁신학교 중심의 교육을, 지방자치단체는 특목고 중심 교육을 주장할 것”이라며 “간극을 줄일 수 있도록 교회와 지역사회가 어떤 학교 모델이 학생들에게 효율적인지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좋은교사운동 전 대표인 정병오 교사(문래중학교)는 “좁은 의미의 기독교적 이슈에 접근할 것이 아니라 큰 흐름에서 진보 교육감의 정책을 보조하는 교회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교사는 “지금까지 교회는 미션스쿨에서 종교교육 문제, 학생인권조례 성소수자 조항 포함 여부 등에만 집중했다”며 “보다 넓은 기독교적 세계관을 가지고 교육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학교의 자율성 확대, 교육계 부패 추방, 소외계층 교육 지원 강화, 지역사회와 학교 연대 강화, 학생 자치 강화 등을 제시했다.

송순재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는 기독교 학교들의 반성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현재 기독교 학교들은 전통 교리교육에만 접근하려 하고 변화된 사회 상황에는 무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파국에 처한 공교육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고 묻어가려 한다”고 비판했다.

송 교수는 “배재·경신·대성학교 등 초기 기독교학교들은 종교 교과뿐 아니라 전 교육 활동에서 신앙이 체험되도록 했다”며 “교사들의 인격적 감화를 중심으로 이들 학교의 교육 방법을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각 교과목이 함축하는 종교적 의미를 다루거나 다른 교과목과 연계과정을 만들어 하나님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삼열 기자 samu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