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박근혜 대통령이 천명한 ‘통일대박론’을 구체화시킬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가 15일 공식 발족했다.
위원장인 박 대통령을 정점으로 정부·민간 측 부위원장 2명과 통일준비위원, 전문위원, 통일교육 및 언론자문단까지 총 150명 이상으로 구성되는 ‘매머드급’ 기구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위원회 명단과 운영 방안을 발표했다. 첫 회의는 다음 달 초 열린다.
위원회를 진두지휘하게 될 민간 부위원장에는 정종욱 인천대 석좌교수가, 정부 부위원장에는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임명됐다. 위원회의 중추이자 통일 한반도 청사진을 만들게 될 통일준비위원 50명은 박 대통령 외에 민간위원 30명, 국회 여야 정책위의장 2명, 정부위원 11명, 국책연구기관장 6명 등으로 구성됐다. 면면으로 볼 때 민·관 협업 형태다.
민간 몫의 정 부위원장은 1940년 경남 거창 태생으로 서울대 교수를 거쳐 김영삼정부에서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주중(駐中) 대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인천대 중국학술원장으로 있다. 공직을 떠난 지 오래돼 일반인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높은 편은 아니지만 남북관계와 통일 문제를 꾸준히 천착해온 적합자라는 게 청와대의 발탁 설명이다.
민간 위원들은 정·관계와 학계의 중량감 있는 원로들이 다수 포함됐다. 고건 전 총리를 비롯해 외무부 장관을 지낸 한승주 한미협회장과 노무현정부 시절 동북아시대위원장을 지낸 문정인 교수, 김대중정부 국가정보원 차장을 지낸 라종일 한양대 석좌교수 등이 눈에 띈다. 또 북한 외교관 출신의 탈북자로 91년 입국해 국가안보전략연구소에서 북한 문제를 연구해온 고영환 실장이 외교안보분과에 들어갔다.
경제분과는 최경수 북한자원연구소장, 김영훈 농촌경제연구소 글로벌협력연구부장 등 대북경제에 밝은 실무형 인사들이 합류했다. 오랫동안 대북지원 사업을 펼쳐온 월드비전의 양호승 회장, 통일교육에 헌신해온 최경자 서울공덕초 교장, 탈북자의 심리적 고통 해소에 노력해온 전우택 연세대 의대 교수, 겨레말큰사전 남북 공동 편찬 사업에 참여해온 권재일 서울대 언어학과 교수 등이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통일준비위는 통일부는 물론 대통령 직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역할, 기능이 겹친다는 점에서 ‘옥상옥’이란 논란이 일고 있다. 아울러 진보 진영의 비중이 적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주 수석은 “통일준비위의 논의를 토대로 통일부가 통일정책 주무 부처로서 이를 집행해가고, 민주평통은 국민 통일 여론을 수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며 “3개 기구가 시너지를 이뤄 통일 기반을 구축해 나가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백민정 남혁상 기자 minj@kmib.co.kr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공식 출범… 정·관·학계 원로인사 두루 포진
입력 2014-07-16 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