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 주택과 저가 주택의 가격 차이가 지난달 사상 최저 폭으로 좁혀졌다. 고가 주택 가격이 살짝 내려간 반면 저가 주택 가격은 크게 오른 것이어서 저소득층의 내 집 마련이 더욱 어려워졌다.
KB국민은행은 지난달 전국 주택(단독·연립주택·아파트) 평균 가격의 5분위 배율이 4.9로 집계됐다고 15일 밝혔다. 이 조사가 시작된 2008년 12월 이후 6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5분위 배율은 주택 가격 상위 20%(5분위)의 평균을 하위 20%(1분위) 평균으로 나눈 값이다. 배율이 높을수록 두 주택 가격의 차이가 크다는 뜻이다.
2008년 12월 첫 조사 때 8.4였던 5분위 배율은 같은 달 기준으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8.2→7.3→6.0→5.4→5.1로 꾸준히 좁혀졌다. 올해 3월 5.0으로 하락했고 지난달 다시 0.1포인트 줄었다.
지난달 전국 5분위 주택 가격은 평균 5억1824만원으로 2009년 6월보다 7.4%(4127만원) 하락했다. 같은 기간 1분위 주택 가격은 6682만원에서 1억490만원으로 57.0% 급등했다. 지난해와 비교한 5분위 주택값은 0.1%(67만원) 오르는 데 그쳤지만 1분위 주택값은 5.0%(497만원) 올랐다.
이런 경향은 수도권과 부산 대전 등 일부 지방광역시에서 두드러졌다. 서울의 지난달 5분위 배율은 4.3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해 5분위 주택 가격이 9억3212만원으로 33만원 오르는 동안 1분위 가격은 2억1775만원으로 337만원(1.6%) 올랐다. 경기도와 인천의 5분위 배율은 각각 3.6, 3.4로 지난해보다 0.1포인트씩 떨어졌다. 지방광역시 중에선 울산(3.4) 대전(3.6) 부산(4.2)의 5분위 배율이 각각 0.5포인트, 0.2포인트, 0.1포인트 하락했다. 부산은 1분위 가격이 2.2%(214만원) 상승하는 동안 5분위는 1.2%(476만원) 떨어졌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비싼 주택은 가격이 내려 고소득층의 주택 구매는 쉬워지고 저렴한 주택은 가격이 올랐다”며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저소득층 내 집 마련 더 어려워졌다… 고가 집값 소폭 내리고 저가는 대폭↑
입력 2014-07-16 0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