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정성근 국회 재송부 요청 안할 듯

입력 2014-07-15 02:09
박근혜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번주 중 2기 내각 출범’을 예고함에 따라 자질 논란을 빚고 있는 일부 장관 후보자들의 거취 역시 주목된다.

이날은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 3명에 대한 보고서 채택시한이었다. 하지만 끝내 보고서 채택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제 남은 것은 박 대통령의 결단뿐이다. 박 대통령이 자신의 국정운영 구상과 대야(對野) 관계, 여론 향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을 내리는 상황만 남겨뒀다.

박 대통령은 15일부터 열흘 이내에 국회에 다시 보고서 송부를 요청할 수 있다. 재송부 요청 대상에서 빠지는 장관 후보자는 사실상의 지명 철회가 되는 것이다. 반대로 포함된다면 국회의 보고서 채택 불발에도 박 대통령이 임명 수순을 밟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청와대와 여권에선 박 대통령이 정종섭 후보자는 재송부 요청에 포함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김명수 후보자와 정성근 후보자에 대해선 여론 악화 등을 우려해 막판까지 심각하게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애초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김명수, 정성근 후보자에 대해서도 적극 엄호하겠다는 의지가 강했다. 그러나 국회 청문과정을 거치며 여권 내부에서조차 부정적 기류가 확산되는 추세다. 실제로 청와대 내부에서도 김 후보자, 정성근 후보자를 둘러싼 기류는 현재 부정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문회에서 여러 논란들에 대한 소명절차를 거치고 시간이 흐르면 분위기가 바뀔 수 있다고 봤는데 현재로선 오히려 그 반대가 돼 더 악화된 상태”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청문요청서를 재송부하기 전에 논란을 빚은 장관 후보자들이 자진사퇴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대통령에게 직접 지명 철회라는 정치적 부담을 지우지 않는 방안이다. 여권 관계자는 “대통령에게 장관 후보자 임명 강행 여부를 결정하라고 하는 것보다 논란 당사자가 직접 결단을 내리는 것이 더욱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