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원내지도부 회동에서는 최근 빚어진 인사 논란, 세월호 참사 수습 방안, 국회 법안 처리, 경제 문제, 남북 관계, 4대강 사업 등 다양한 국정 현안이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청와대에서 10일 이뤄진 이번 회동에서 서로가 원하는 부분을 솔직하게 털어놓자 자연스레 합의 사항이 도출됐다. 일부 의견이 다른 대목도 맹목적으로 반대하지 않고 경청하려는 모습이 역력했다.
◇박 대통령, 정홍원 국무총리 유임 “이해해 달라”=박 대통령이 여야에 요구한 것은 입법이 시급한 법안의 조속한 처리였다. 여야는 박 대통령의 의견을 받아들여 정부조직법 개정안, 이른바 ‘김영란법’ ‘유병언법’ 등을 8월 국회에서 처리키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일부 법안에 대해 여야가 입장차가 커 입법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여야 원내지도부에게 새 국무총리를 찾는 데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면서 동의를 구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정홍원 총리가) 세월호 현장 수습을 해 현장을 잘 알고 유가족들과 교감을 잘하셔서 유가족을 이해할 수 있는 분으로, 진정성 있게 후속 대책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안대희·문창극 전 총리 후보자의 낙마와 관련해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청와대 인사 책임자가 책임져야 한다는 여론이 많다는 것을 대통령도 알고 계실 것”이라고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을 겨냥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아무 답 없이 그냥 듣기만 했다고 한다.
◇靑·여야 소통 확대 기대감=박 대통령의 여야 원내대표를 향해 “국민을 위한 상생의 국회로 상(像)을 잘 만들어가면 국민께서 크게 박수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덕담을 건넸다. 박 대통령은 회동 말미에 “앞으로 정례적으로 (여야)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등 원내지도부와 정례 회동을 하는 게 어떻겠는가”라며 “양당 대표가 잘 논의해서 답을 달라”고 말했다.
이번 언급에 따라 박 대통령과 여야 원내지도부가 정기적으로 만나 소통을 확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졌다.
박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이)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와의 만남도 이른 시일 내 갖는 게 좋겠다”고 희망했다. 박 대통령은 별다른 답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이 긍정적인 입장을 묵시적으로 보인 것으로 해석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병기 국정원장 (후보자)은 야당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분이지만 국정과 안보공백 문제를 고려해 청문보고서를 채택했다”면서 “정치 관여 금지 등 국정원 개혁에 박차를 가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원내대표는 “국정, 안보 문제가 중요한데 야당이 채택에 응해줘서 대단히 고맙다”고 화답했다.
새정치연합은 청와대 비선 라인의 인사 개입 의혹과 세월호 참사 늑장 대응 문제 등 예민한 문제는 박 대통령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직접 거론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청와대 ‘소통 회동’] 여야 원내지도부와 정례회동 제안… 朴 대통령, 강한 소통 의지 보였다
입력 2014-07-11 0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