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을 재고해 달라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요청을 박근혜 대통령이 참고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힘에 따라 이들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김 후보자의 경우 야당은 물론 청와대와 여당 내에서도 낙마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임명 철회냐 자진 사퇴냐의 형식의 문제만 남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김 후보자의 거취는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드러난 자질과 국민 여론, 야당의 요구 등을 감안해 대통령이 결정하지 않겠느냐”면서 “오랜 시간이 걸리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내에선 김 후보자를 무조건 감쌀 경우 7·30재보선을 앞두고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여기에 보수 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조차 성명을 내고 김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등 여론이 심상치 않다는 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 당직자는 “인사청문회 이후 여당 내에서도 김명수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다”면서 “김 후보자의 임명을 추진할 동력이 떨어졌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야당 의원들의 거듭된 사퇴 촉구에 “(청문회가 끝나고) 선택을 받게 되면 사퇴가 아니고, 선택을 못 받으면 카드가 버려지는 거죠”라고 말해 사실상 마음을 비운 듯한 모습을 보였다.
정 후보자도 이름이 공개적으로 거론됨에 따라 임명이 불투명해졌다. 박 대통령이 새정치연합의 요구를 전격 수용해 임명을 철회하거나 정 후보자가 스스로 물러날 경우 여야 관계는 그 어느 때보다 훈풍이 불 수 있다.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이날 회동에서 합의한 정부조직법 개정안, 부정청탁 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김영란법) 등의 국회 처리가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청와대는 국정 운영의 동력을 상당 부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사의 총체적인 실패를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어서 정치적으로 부담이 너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청와대가 정 후보자의 임명을 밀어붙이면 야당이 반발하고 여야 관계는 다시 냉각기로 접어들 가능성도 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청와대 ‘소통 회동’] ‘자질 미달’ 김명수·정성근 결국 낙마하나
입력 2014-07-11 0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