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위적으로 출산율 높이기보다 삼포세대가 만족할 인프라 갖추자”

입력 2014-07-11 02:38

문형표(사진) 보건복지부 장관이 제3회 ‘인구의 날’을 맞아 “보육 지원이나 출산인센티브만으론 저출산 추세를 반전시키기 어렵다”며 기존 저출산 대책의 한계를 인정했다. 이어 “인구위기론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다시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며 “일자리·주거 문제를 포함해 정부 정책 전반이 결혼·출산·양육을 중심으로 재정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장관은 10일 미리 배포한 인구의 날(11일) 기념사에서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1.19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 수준이며,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수립 후 10년이 지나도록 저출산(합계출산율 1.3명 미만)의 덫에 빠져 있다고 우려했다. 올해도 합계출산율이 1.25명으로 OECD 회원국 중 꼴찌가 예상된다는 미국 중앙정보국(CIA) 전망도 소개했다.

문 장관은 “만혼과 출산기피 문제의 핵심은 삼포(연애·결혼·출산 포기)세대로 불릴 만큼 어려운 젊은이들의 환경”이라고 말했다. 인위적으로 출산율을 높이기보다 결혼부터 출산·양육·교육·노후준비에 이르기까지 젊은 세대가 만족할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문 장관은 앞으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서 이런 보완대책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1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리는 인구의 날 기념식에서는 출산 장려와 일·가정 양립에 기여한 기업·지방자치단체 등이 상을 받는다. 일·가정 양립 지원 시스템을 정착시킨 손교덕 경남은행장에게 국민훈장 모란장, 성혈학 ㈜비비테크 대표에게 국민훈장 목련장이 수여된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